기능개발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 | speeds | return |
[93, 30, 55] | [1, 30, 5] | [2, 1] |
[95, 90, 99,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Python 코드
import math # 수학과 관련된 함수들을 모아놓은 math 모듈 import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n = len(progresses) # progresses 길이를 변수로 선언 date_left = [] # 몇 일 남았는지 date_left라는 stack을 생성 answer = [] # answer 배열로 생성 for i in range(n): progress_left = 100 - progresses[i] # 작업 진행률 확인 share = math.ceil(progress_left / speeds[i]) # math.ceil() 함수를 이용한 올림 date_left.append(share) # 몇 일 남았는지 share 몫을 구해 date_left append # [7, 3, 9] -> 7보다 큰 값이 나올때까지 계속 더해줌 => result 2 # 0을 넣으면 left는 7이 되고 [3, 9]가 됨 # 7보다 큰 값이 나오면 탈출하여 answer.append(result) # [9] # answer = [2] # left = 8 # [9] -> [] # answer = [2, 1] // result default 값이 1이 들어감 while date_left: left = date_left.pop(0) result = 1 while len(date_left) != 0 and left >= date_left[0]: # date_left의 길이가 0이 아니고, left가 date_left보다 크거나 같을 때 result += 1 # 1일씩 추가 date_left.pop(0) # 추가 할 때마다 pop 시켜줌 answer.append(result) # return answer
* 참고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rdiXbJzgBPQ
* math.ceil ( ) 함수 : 실수를 입력하면 올림하여 정수로 반환하는 함수
ceil은 천장을 의미하는 단어로 어떤 실수의 천장을 의미하는 바로 위 정수를 반환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math.ceil(3.14) # result : 4 math.ceil(-3.14) # result : -3 math.ceil(0.15) # result : 1 math.ceil(-0.15) # result : 0 math.ceil(3) # 정수는 그대로 정수로 반환 # result : 3 math.ceil(-3) # result : -3
* 참고 링크 : https://ooyoung.tistory.com/99
* pop ( ) 함수 :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는 삭제한다.
a = [1,2,3] a.pop() # result : 3 a # result : [1, 2]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4#pop
* append ( ) 함수 : append를 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덧붙이다, 첨부하다"라는 뜻이 있다. append(x)는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x를 추가하는 함수이다.
a = [1, 2, 3] a.append(4) a # result : [1, 2, 3, 4]
리스트 안에는 어떤 자료형도 추가할 수 있다.
다음 예는 리스트에 다시 리스트를 추가한 결과이다.
a.append([5,6]) a # result : [1, 2, 3, 4, [5, 6]]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4#append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progresses, vector<int> speeds) { vector<int> answer; //현재 진척도 queue<int> current; //큐에 옮기기 for (auto p : progresses) current.push(p); while (!current.empty()){ //진척도 추가 for (int i = 0; i < current.size(); i++){ int p = current.front(); current.pop(); current.push(p + speeds.at(i)); } int count = 0; //큐 내부검사 while (true){ //진척도가 100퍼센트 이상이라면 큐에서 제거하고 카운트 증가 if (current.size() >0 && current.front() >= 100){ current.pop(); speeds.erase(speeds.begin()); count++; continue; } break; } //카운트가 한개이상 올라갔다면 //정답리스트에 몇개가 배포되는지 추가 if (count > 0) answer.push_back(count); }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mungto.tistory.com/197
출처
'코딩테스트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Programmers] 24_모의고사 (Lv2.) (0) | 2022.01.23 |
---|---|
[코딩테스트/Programmers] 23_주식가격 (Lv2.) (0) | 2022.01.18 |
[코딩테스트/Programmers] 21_다리를 지나는 트럭 (Lv2.) (0) | 2022.01.17 |
[코딩테스트/Programmers] 20_정수 제곱근 판별 (Lv1.) (0) | 2022.01.11 |
[코딩테스트/Programmers] 19_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Lv1.)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