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문서 편집기 — vi
1. vi 모드 구조
A[명령 모드 (Command mode)] --> B[입력 모드 (Insert mode)]
A --> C[마지막 행 모드 (Last line mode)]
B --> A
C --> A

- 명령 모드: vi 실행 시 기본 모드 (복사, 삭제, 이동 등 명령어 실행)
- 입력 모드: 글자를 입력하는 모드 (i, a, o 로 진입)
- 마지막 행 모드: 저장·종료·검색 같은 명령 입력 (:wq, :q!)
2. 자주 쓰는 기본 명령어
입력 시작 | i (커서 앞), a (커서 뒤), o (새 줄) |
저장 & 종료 | :wq |
강제 종료 (저장 안 함) | :q! |
이동 | h(왼쪽), l(오른쪽), j(아래), k(위), :10(10번 줄 이동), G(파일 끝) |
삭제 | dd (한 줄 잘라내기) |
복사 & 붙여넣기 | yy (복사), p (붙여넣기) |
검색 | /문자열 |
3. 문서 편집기 실습
① 연습용 파일 생성
cd$HOME/proc # 실습 디렉토리로 이동 vi test.txt # vi 편집기 실행
입력 예시 (입력 모드에서 붙여넣기):
② 파일 내용 확인
cat test.txt # 파일 전체 내용 출력
👉 cat은 파일 내용을 한 번에 보여줍니다.
③ 줄 번호 표시 & 특정 줄로 이동
:5 # vi에서 5번째 줄로 이동
👉 .exrc 설정에서 set nu를 추가하면 항상 줄 번호가 표시됩니다.
④ 삭제 & 붙여넣기
⑤ 문자열 검색
👉 / 입력 후 검색어 입력 → 해당 단어로 커서 이동
⑥ 저장 & 종료
:wq # 저장 후 종료 :q! #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⑦ .exrc 설정 파일 다루기
ls -a | grep exrc # .exrc 파일 존재 여부 확인mv .exrc .exrc.bak 2>/dev/null # 있으면 백업 vi .exrc # 새 설정 파일 생성
입력할 내용 (vi 설정):
👉 저장 후 종료 (:wq)
⑧ 설정 적용 & 확인
vi ~/prac/test.txt
- 줄 번호 확인 (set nu)
- /hosts 검색 시 대소문자 무시되는지 확인 (set ignorecase)
- 새 줄 입력 시 자동 들여쓰기 되는지 확인 (set autoindent)
- 모드 표시 확인 (--INSERT-- 뜨는지 확인, set showmode)
4. 한 줄 한 줄 주석 설명
5. 현업에서 자주 쓰는 vi 활용 ✨
- 서버 설정 파일 편집: /etc/nginx/nginx.conf, /etc/hosts 같은 시스템 설정
- 로그 파일 빠른 수정: 긴 로그 파일에서 특정 키워드 검색 (/error)
- 빠른 줄 이동: 에러 로그에서 특정 줄 번호 확인 후 :숫자로 이동
- 복사/붙여넣기: 설정 블록을 잘라내어 다른 위치에 붙여넣을 때 yy, p 자주 사용
- .exrc 자동 설정: 항상 줄 번호 표시, 검색 시 대소문자 무시, 자동 들여쓰기 → 현업 엔지니어들이 꼭 켜두는 옵션
.exrc 자동 설정 방법
vi ~/.exrc
set nu " 줄 번호 표시
set ignorecase " 검색 시 대소문자 구분 안 함
set autoindent " 자동 들여쓰기
set showmode " 현재 모드 표시 (--INSERT-- 같은 상태 표시)
ECS Key 눌러서 편집모드 종료
:wq! 로 저장 후 종료
'Cloud Engineering Bootcamp > 5.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Linux 명령어 정리 (0) | 2025.09.12 |
---|---|
02. Linux 기초 (0) | 2025.09.12 |
01. 가상 서버 구축 (0) | 2025.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