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 사항

 

  •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Python 코드

 

def solution(s):
    return s.lower().count('p') == s.lower().count('y')
  • lower ( )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바꾼 뒤
  • count ( ) 함수로 문자열 내의 p와 y의 개수를 센 것 을 비교하여 바로 True 또는 False가 나옴

 

* upper ( ) 함수 : a를 대문자 문자열로 변환

* lower ( ) 함수 : b를 소문자 문자열로 변환

 
a = "hi"
 
print("a를 대문자로:", a.upper())
 
 
 
b = "HI"
 
print("b를 소문자로:", b.lower())

* count ( ) 함수 : 문자열에서 사용되는 함수로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카운팅 해주는 함수

 
 
 
str1 = '111112345'
print(str1.count('1')) #5
print(str1.count('11')) #2

my_name = 'minhee kang'
print(my_name.count('min')) #1
print(my_name.count('e'))  #2

# 리스트에 사용가능
my_name_list = ['min', 'hee', 'kang']
print(my_name_list.count('min')) #1
print(my_name_list.count('e'))  #0

# 튜플에 사용가능
my_name_tuple = ('min', 'hee', 1)  #이렇게 int 형 섞여있어도 가능
print(my_name_list.count('min')) #1
print(my_name_list.count('e'))  #0

# 집합에 사용가능
my_name_set = {'min', 'hee', 1}
print(my_name_list.count('min')) #1
print(my_name_list.count('e'))  #0
 
 

* 참고 링크 1 : https://wikidocs.net/13

* 참고 링크 2 : https://velog.io/@himinhee/python-count-%ED%95%A8%EC%88%98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char easytolower(char in) {
  if(in <= 'Z' && in >= 'A')
    return in - ('Z' - 'z');
  return in;
}

bool solution(string s)
{
    int p = 0;
    int y = 0;
    transform(s.begin(), s.end(), s.begin(), easytolower);
    for(int i = 0; i < s.size(); i++){
        if(s[i] == 'p')
            p++;
        else if(s[i] == 'y')
            y++;
    }

    if(p == y )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include <string>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bool solution(string s)
{
	int p = 0, y = 0;
	for (int i = 0; i < s.length(); i++)
	{
		if (tolower(s[i]) == 'p') p++;
		else if (tolower(s[i]) == 'y') y++;
	}
	return (p - y == 0) ? true : false;
}

 

* 참고 링크 1 : https://jjeongil.tistory.com/603

* 참고 링크 2 : https://it-and-life.tistory.com/192

이상한 문자 만들기

 

 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try hello world" "TrY HeLIO WoRID"

 

 Python 코드

 

def solution(s):
    new_list = []				 # 문자열을 새로 만들어야 하니 빈 리스트 생성
    words_list = s.split(" ")     # 받은 문자열을 단어별(스페이스 기준)으로 split해서 list에 넣어주기
    for word in words_list:		 # 단어 리스트에 있는 단어들 반복할 때 그 단어 길이 만큼 반복문
        new_words = ""	             # 단어가 반복할 때 맞춰서 빈 string이 채워지는거니까 여기에 맞게 빈 String 만들기
        for i in range(len(word)): # 단어 리스트에 있는 단어들 반복할 때 그 단어 길이 만큼 반복문
            if i % 2:
                new_words += word[i].lower() # 단어가 짝수면 소문자로 바꿔서 빈 stirng에 붙여주기
            else:
                new_words += word[i].upper() # 단어가 홀수면 대문자로 바꿔서 빈 stirng에 붙여주기
        new_list.append(new_words)     # 단어 하나가 반복이 끝나면 빈 list에 새로운 string 붙여주기
    return ' '.join(new_list)          # 새로 채워진 list new_words에 있는 요소들 붙여서 return (스페이스 중간에 넣어주기)
def toWeirdCase(s):
    # 함수를 완성하세요
    return ' '.join([''.join([c.upper() if i % 2 == 0 else c.lower() for i, c in enumerate(w)]) for w in s.split(' ')])


def toWeirdCase(s):
    return " ".join(map(lambda x: "".join([a.lower() if i % 2 else a.upper() for i, a in enumerate(x)]), s.split(" ")))

* 참고 링크 : https://velog.io/@joygoround/test-%EC%9D%B4%EC%83%81%ED%95%9C-%EB%AC%B8%EC%9E%90-%EB%A7%8C%EB%93%A4%EA%B8%B0-%ED%8C%8C%EC%9D%B4%EC%8D%AC

 

* upper ( ) 함수 : a를 대문자 문자열로 변환

* lower ( ) 함수 : b를 소문자 문자열로 변환

a = "hi"
print("a를 대문자로:", a.upper())

b = "HI"
print("b를 소문자로:", b.lower())

* split ( ) 함수 : 문자열 나누기

a = "Life is too short"
a.split()
# result : ['Life', 'is', 'too', 'short']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3

 

 C++ 코드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
    int idx = 0;
    
    for(int i=0; i<s.size(); i++){
        
        if(s[i] == ' '){
            idx=0;
            continue; 
        }
        
        if(idx%2){
            if(s[i] <= 'Z') s[i]+=32;
        }
        else{
            if(s[i] >= 'a') s[i]-=32;  
        }
        idx++;
    }
    
    return s;
}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
    int idx = 0;
    
    for(int i=0; i<s.size(); i++){
        
        if(s[i] == ' '){
            idx=0;
            continue; 
        }
       
        if(idx%2){
            s[i] = tolower(s[i]);
        }
        else{
            s[i] = toupper(s[i]); 
        }
        idx++;
    }
    
    return s;
}

* 참고 링크 : https://iingang.github.io/posts/Programmers-12930/

6081. 16진수 구구단 출력하기

16진수(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를 배운
영일이는 16진수끼리 곱하는 16진수 구구단?에 대해서 궁금해졌다.

A, B, C, D, E, F 중 하나가 입력될 때,
1부터 F까지 곱한 16진수 구구단의 내용을 출력해보자.
(단, A ~ F 까지만 입력된다.)

예시
...
  print('%X'%n, '*%X'%i, '=%X'%(n*i), sep='')
...

참고
print('%X'%n)    #n에 저장되어있는 값을 16진수(hexadecimal) 형태로 출력
작은 따옴표 2개를 사용해서 print(..., sep='') 으로 출력하면, 공백없이 모두 붙여 출력된다.
작은 따옴표 2개 '' 또는 큰 따옴표 2개 "" 는 아무 문자도 없는 빈문자열(empty string)을 의미한다.

a = input()

for i in range(1, 16):
  print( '%s*%s=%s' %(a, hex(i)[2:].upper(), hex(int(a, 16) *i )[2:].upper()))

 

6082. 3 6 9 게임의 왕이 되자


친구들과 함께 3 6 9 게임을 하던 영일이는 잦은 실수 때문에 계속해서 벌칙을 받게 되었다.
3 6 9 게임의 왕이 되기 위한 369 마스터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 3 6 9 게임은?
여러 사람이 순서를 정한 후, 순서대로 수를 부르는 게임이다.
만약 3, 6, 9 가 들어간 수를 자신이 불러야 하는 상황이라면, 수를 부르는 대신 "박수(X)" 를 쳐야 한다.
33과 같이 3,6,9가 두 번 들어간 수 일때, "짝짝"과 같이 박수를 두 번 치는 형태도 있다. 

참고 
...
for i in range(1, n+1) :
  if i%10==3 :
    print("X", end=' ')    #출력 후 공백문자(빈칸, ' ')로 끝냄
...

a = int(input())

for i in range(1, a+1):
  if (i % 10 == 3 or i % 10 == 6 or i % 10 == 9):
    print('X', end= ' ')
    continue
    
  print(i, end= ' ')

 

6083.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빛을 섞어 여러 가지 다른 색 빛을 만들어 내려고 한다.

빨강(r), 초록(g), 파랑(b) 각 빛의 가짓수가 주어질 때,
주어진 rgb 빛들을 섞어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조합(r g b)과 만들 수 있는 색의 가짓 수를 계산해보자.  

**모니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에서 각 픽셀의 색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r, g, b 색을 조합할 수 있다.
**픽셀(pixel)은 그림(picture)을 구성하는 셀(cell)에서 이름이 만들어졌다.
 

r, g, b = input().split()

r = int(r)
g = int(g)
b = int(b)

for i in range(0, r):
  for j in range(0, g):
    for k in range(0, b):
      print(i, j, k)

print(r*g*b)

 

6084. 소리가 컴퓨터에 저장될 때에는 디지털 데이터화 되어 저장된다.

마이크를 통해 1초에 적게는 수십 번, 많게는 수만 번 소리의 강약을 체크하고,
한 번씩 체크할 때 마다 그 값을 정수값으로 바꾸어 저장하는 방식으로 소리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값을 저장할 때에는 비트를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세세한 녹음 정도를 결정할 수 있고,
좌우(스테레오) 채널로 저장하면 2배… 5.1채널이면 6배의 저장공간이 필요하고,
녹음 시간이 길면 그 만큼 더 많은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1초 동안 마이크로 소리강약을 체크하는 횟수를 h
(헤르쯔, Hz 는 1초에 몇 번? 체크하는가를 의미한다.)

한 번 체크한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비트수를 b
(2비트를 사용하면 0 또는 1 두 가지, 16비트를 사용하면 65536가지..)

좌우 등 소리를 저장할 트랙 개수인 채널 개수를 c
(모노는 1개, 스테레오는 2개의 트랙으로 저장함을 의미한다.)

녹음할 시간(초) s가 주어질 때,

필요한 저장 용량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실제로, 일반적인 CD 음질(44.1KHz, 16bit, 스테레오)로 1초 동안 저장하려면
44100 * 16 * 2 * 1 bit의 저장공간이 필요한데,
44100*16*2*1/8/1024/1024 로 계산하면 약 0.168 MB 정도가 필요하다.

이렇게 녹음하는 방식을 PCM(Pulse Code Modulation) 방법이라고 하는데,
압축하지 않은 순수한(raw) 소리 데이터 파일은 대표적으로 *.wav 가 있다.

**
      8 bit(비트)           = 1byte(바이트)       # 8bit=1Byte
1024 Byte(210 byte) = 1KB(킬로 바이트)  # 1024Byte=1KB
1024 KB(210 KB)      = 1MB(메가 바이트)
1024 MB(210 MB)     = 1GB(기가 바이트)
1024 GB(210 GB)      = 1TB(테라 바이트)

h, b, c, s = input().split()

h = int(h)
b = int(b)
c = int(c)
s = int(s)

print(round(h*b*c*s/8/1024/1024, 1), "MB")

 

6085. 이미지가 컴퓨터에 저장될 때에도 디지털 데이터화 되어 저장된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그림을 구성하는 한 점(pixel, 픽셀)의 색상을
빨강(r), 초록(g), 파랑(b)의 3가지의 빛의 세기 값으로 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r, g, b 각 색에 대해서 8비트(0~255, 256가지 가능)씩을 사용한다고 하면,

한 점의 색상은 3가지 r, g, b의 8비트+8비트+8비트로 총 24비트로 표현해서
총 2^24 가지의 서로 다른 빛의 색깔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저장하는 점을 모아 하나의 큰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되는데,
1024 * 768 사이즈에 각 점에 대해 24비트로 저장하면 그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이미지의 원래(raw)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파일이
*.bmp 파일이며, 비트로 그림을 구성한다고 하여 비트맵 방식 또는 래스터 방식이라고 한다.

이미지의 가로 해상도 w, 세로 해상도 h, 한 픽셀을 저장하기 위한 비트 b 가 주어질 때,
압축하지 않고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 용량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예를 들어
일반적인 1024 * 768 사이즈(해상도)의 각점에 대해
24비트(rgb 각각 8비트씩 3개)로 저장하려면
1024 * 768 * 24 bit의 저장공간이 필요한데,
1024*768*24/8/1024/1024 로 계산하면 약 2.25 MB 정도가 필요하다.

실제 그런지 확인하고 싶다면, 간단한 그림 편집/수정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8 bit(비트)           = 1byte(바이트)     #       8bit=1Byte
1024 Byte(210 byte) = 1KB(킬로 바이트)  # 1024Byte=1KB
1024 KB(210 KB)      = 1MB(메가 바이트)
1024 MB(210 MB)     = 1GB(기가 바이트)
1024 GB(210 GB)      = 1TB(테라 바이트)

a, b, c = map(int, input().split())

totalbit = a * b * c
totalbyte = totalbit / 8
totalkb = totalbyte / 1024
totalmb = totalkb / 1024

print("%0.2f MB" % totalmb)

6077. 정수(1 ~ 100) 1개를 입력받아 1부터 그 수까지 짝수의 합을 구해보자.

예시
#다음 코드는 홀 수만 더해 출력한다.
n = int(input())
s = 0
for i in range(1, n+1) :
  if i%2==1 :
    s += i

print(s)

참고
while 이나 for 반복실행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이나 while 반복실행구조를 이용해서도 성공시켜 보자.

n = int(input())
s = 0

for i in range( 1, n + 1 ):
  if i % 2 == 0:
    s += i

print(s)

 

6078. 영문 소문자 'q'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한 문자를 계속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while True:
  a = input()
  print(a)

  if a == 'q':
    break

 

6079. 1, 2, 3 ... 을 계속 더해 나갈 때,
그 합이 입력한 정수(0 ~ 1000)보다 같거나 작을 때까지만
계속 더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즉, 1부터 n까지 정수를 계속 더해 나간다고 할 때,
어디까지 더해야 입력한 수보다 같거나 커지는 지를 알아보고자하는 문제이다.

end_point = int(input())

total = 0 

for i in range(1, end_point+1):
  total += i
  if total >= end_point: 
    break
print(i)

 

6080. 1부터 n까지, 1부터 m까지 숫자가 적힌 서로 다른 주사위 2개를 던졌을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출력해보자.

예시
...
for i in range(1, n+1) :
  for j in range(1, m+1) :
    print(i, j)
...

참고
위 코드는
바깥쪽의 i 값이 1부터 n까지 순서대로 바뀌는 각각의 동안에
안쪽의 j 값이 다시 1부터 m까지 변하며 출력되는 코드이다.

조건선택 실행구조 안에 다른 조건선택 실행구조를 넣어 처리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반복 실행구조 안에 다른 반복 실행구조를 넣어 처리할 수 있다.

원하는 형태로 실행 구조를 결합하거나 중첩시킬 수 있다.

a, b = map(int, input().split())

for a in range(1, a+1):
  for b in range(1, b+1):
    print(a, b)

6071. 임의의 정수가 줄을 바꿔 계속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7, 단 개수는 알 수 없다.

0이 아니면 입력된 정수를 출력하고, 0이 입력되면 출력을 중단해보자.

예시
...
n = 1      #처음 조건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 0 아닌 값을 임의로 저장
while n!=0 :
  n = int(input())
  if n!=0 :
    print(n)
...

참고
if 조건식 :
  ...
  ...


구조를 사용하면,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True 인 경우에만, 들여쓰기로 구분된 코드블록이 실행된다.

if 를 while 로 바꾸면?

while 조건식 :
  ...
  ...

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해서 실행시킬 수 있다.

실행되는 과정은
1. 조건식을 평가한다.
2. True 인 경우 코드블록을 실행한다.
3. 다시 조건식을 평가한다.
4. True 인 경우 코드블록을 실행한다.
...
... 조건식의 평가 값이 False 인 경우 반복을 중단하고, 그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True 동안만 반복 실행된다. 

반복실행구조 안에 다른 조건/선택실행구조를 넣을 수도 있고...
조건/선택실행구조 안에 다른 반복실행구조를 넣을 수도 있다.

while True:
  a = int(input())
  if a == 0:
    break
  else:
    print(a)

 

6072. 정수(1 ~ 100) 1개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다운을 출력해보자.

while 조건식 :
  ...
  ...
반복 실행구조를 사용해 보자.

예시
...
while n!=0 :
  print(n)
  n = n-1
...

참고
n = n-1  #n에 저장되어있던 값에서 1만큼 뺀 후, 그 값을 다시 n에 저장시킨다.
n -= 1 과 같이 짧게 작성할 수도 있다. n -= 1 은 n = n-1 과 같은 의미이다.
이렇게 산술연산자(+, -, *, / ... )와 대입 연산자(=)를 함께 쓰는 것을 복합대입연산자라고도 부른다.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 등과 같이 짧게 작성할 수 있다.

처음에 조건식을 검사하고, 그 다음에 실행하고, 그 다음에 값을 바꾸고...
다시 조건식을 검사하고, 실행하고, 값을 바꾸고...

a = int(input())

while True:
  print(a)
  a = a - 1
  if (a == 0):
    break

 

6073. 정수(1 ~ 100) 1개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트다운을 출력해보자.

while 조건식 :
  ...
  ...

반복 실행구조를 사용해 보자.

참고
조건검사, 출력, 감소의 순서와 타이밍을 잘 생각해보자.

a = int(input())

while True:
  a = a - 1
  print(a)
  if(a == 0):
    break

 

6074. 영문 소문자(a ~ z) 1개가 입력되었을 때,
a부터 그 문자까지의 알파벳을 순서대로 출력해보자.

예시
c = ord(input())
t = ord('a')
while t<=c :
  print(chr(t), end=' ')
  t += 1

참고
알파벳 문자 a의 정수값은 ord('a')로 알아낼 수 있다.
chr(정수값)을 이용하면 유니코드 문자로 출력할 수 있다.
print(..., end=' ') 와 같이 작성하면 값 출력 후 공백문자 ' '를 출력한다. 즉, 마지막에 줄을 바꾸지 않고 빈칸만 띄운다.
(end='\n'로 작성하거나 생략하면, 값을 출력한 후 마지막(end)에 줄바꿈(newline)이 된다.)

a = ord(input())

for i in range(97, a+1):
  print(chr(i), end=' ')

ord() 함수 - 문자를 아스키 코드 값으로 변환

chr() 함수 - 아스키 코드 값을 문자로 변환

print(chr(i), end=' ') -> end = ' ' 를 통해 공백을 두고 한 줄로 출력이 가능

 

6075. 정수(0 ~ 100) 1개를 입력받아 0부터 그 수까지 순서대로 출력해보자.

a = int(input())

i = 0
while a >= 0:
  print(i)
  i += 1
  a -= 1
a = int(input())
for i in range(0, a+1):
  print(i)

 

6076. 정수(0 ~ 100) 1개를 입력받아 0부터 그 수까지 순서대로 출력해보자.

예시
n = int(input())
for i in range(n+1) :
  print(i)

참고
range(n) 은 0, 1, 2, ... , n-2, n-1 까지의 수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range(3) 은 0, 1, 2 인 수열을 의미한다.

for i in range(n) :    #range(n)에 들어있는(in) 각각의 수에 대해서(for) 순서대로 i에 저장해 가면서...
이때의 for는 각각의 값에 대하여... 라는 for each 의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range(끝)
range(시작, 끝)
range(시작, 끝, 증감)
형태로 수열을 표현할 수 있다. 시작 수는 포함이고, 끝 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시작, 끝)
증감할 수를 작성하지 않으면 +1이 된다.

반복 실행구조에 반복 횟수를 기록/저장하는 변수로 i를 자주 사용하는데,
i 는 반복자(iterator)를 나타내는 i라고 생각할 수 있다. i, j, k ... 알파벳 순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a = int(input())
for i in range(a+1):
  print(i)

 

6065. 3개의 정수(a, b, c)가 입력되었을 때, 짝수만 출력해보자.

예시
a, b, c = input().split()

a = int(a)
b = int(b)
c = int(c)

if a%2==0 :  #논리적으로 한 단위로 처리해야하는 경우 콜론(:)을 찍고, 들여쓰기로 작성 한다.
  print(a)

if b%2==0 :
  print(b) 

if c%2==0 :
  print(c) 

참고 
if 조건식 :
  실행1  #조건식의 평가값이 True 인 경우 실행시킬 명령을 들여쓰기를 이용해 순서대로 작성한다.
  실행2
실행3  #들여쓰기를 하지 않은 부분은 조건식에 상관이 없음 

python 에서는 논리적 실행단위인 코드블록(code block)을 표현하기 위해 들여쓰기를 사용한다.
들여쓰기 방법은 탭(tab), 공백(space) 4개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한 소스코드 내에서 들여쓰기 길이와 방법은 똑같아야 한다.

a%2==0 은 (a%2)가 먼저 계산된 후 그 결과를 정수 0과 비교한 결과값이다.
a를 2로 나눈 나머지가 0, 즉 짝수이면 True 가 되고, 아니면 False 로 계산된다.
따라서,
if a%2==0 : #a가 짝수라면 ... 
와 같은 의미가 된다. 짝수가 아니라면 들여쓰기로 작성된 부분들은 실행되지 않는다.

a, b, c = map(int, input().split())
if a % 2 == 0 :
  print(a)
if b % 2 == 0 :
  print(b)
if c % 2 == 0 :
  print(c)
a, b, c = map(int, input().split())
print( *filter(lambda num: not num%2, [a, b, c]))

 

6066. 3개의 정수(a, b, c)가 입력되었을 때, 짝(even)/홀(odd)을 출력해보자.

예시
...
if a%2==0 :
  print("even")
else :
  print("odd") 
...

참고 
if 조건식 :  #조건식을 평가해서...
  실행1      #True 인 경우 실행시킬 명령들...
  실행2
else :        
  실행3      #False 인 경우 실행시킬 명령들...
  실행4
실행5       #조건식과 상관없는 다음 명령
...

else 는 if 없이 혼자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else 다음에는 조건식이 없는 이유는? True(참)가 아니면 False(거짓)이기 때문에... 
조건식의 평가 결과는 True 아니면 False 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python 에서는 들여쓰기를 기준으로 코드블록을 구분하므로, 들여쓰기를 정확하게 해주어야 한다.

a, b, c = map(int, input().split())
if a % 2 == 0:
  print("even")
else:
  print("odd")
if b % 2 == 0:
  print("even")
else:
  print("odd")
if c % 2 == 0:
  print("even")
else:
  print("odd")
a, b, c = map(int, input().split())
print('odd' if a%2 else 'even')
print(b%2 and 'odd or 'even')
print( ['even', 'odd'][c%2] )
a, b, c = map(int, input().split())
print(  *map(lambda num: 'odd' if num%2 else 'even', [a, b, c]) )

 

6067. 0이 아닌 정수 1개가 입력되었을 때, 음(-)/양(+)과 짝(even)/홀(odd)을 구분해 분류해보자.
음수이면서 짝수이면, A
음수이면서 홀수이면, B
양수이면서 짝수이면, C
양수이면서 홀수이면, D
를 출력한다.

예시
...
if n<0 :
  if n%2==0 :
    print('A')      #주의 : 변수 A와 문자열 'A' / "A" 는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else :
    print('B')
else :
  if n%2==0 :
    print('C')
  else :
    print('D')
...

참고
조건/선택 실행구조 안에 다시 조건/선택 실행구조를 "중첩"할 수가 있다.

또한, 중첩된 조건은
...
if (n<0) and (n%2==0) :
    print('A')

...

와 같이 논리연산자(not, and, or)를 이용해 합쳐 표현할 수도 있다.
비교연산(<, >, <=, >=, ==, !=) 의 계산 결과는 True 또는 False 의 불(boolean) 값이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연산(not, and, or)의 결과도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이다.

a = int(input())

if a < 0:
  if(a % 2 == 0):
    print('A')
  else:
    print('B')
else:
  if(a % 2 == 0):
    print('C')
  else:
    print('D')

 

6068. 점수(정수, 0 ~ 100)를 입력받아 평가를 출력해보자.

평가 기준
점수 범위 : 평가
 90 ~ 100 : A
 70 ~   89 : B
 40 ~   69 : C
   0 ~   39 : D
로 평가되어야 한다.

예시
...
if n>=90 :
  print('A')
else :
  if n>=70 :
    print('B')
  else :
    if n>=40 :
      print('C')
    else :
      print('D') 
...

참고
여러 조건들을 순서대로 비교하면서 처리하기 위해서 조건문을 여러 번 중첩할 수 있다.

if 조건식1 :
  ...
else :
  if 조건식2 :
    ...
  else :
    if 조건식3 :
      ...
    else :

      ...

...
와 같이 조건/선택 실행 구조를 겹쳐 작성하면 순서대로 조건을 검사할 수 있다.
어떤 조건이 참이면 그 부분의 내용을 실행하고 전체 조건/선택 구조를 빠져나가게 된다.

if 조건식1 : 
  ... 
elif 조건식2 : 
  ... 
elif 조건식3 : 
  ... 
else : 
  ...
도 똑같은 기능을 한다. elif는 else if 의 짧은 약어라고 생각해도 된다.
elif 를 사용하면 if ... else ... 구조를 겹쳐 사용할 때처럼, 여러 번 안 쪽으로 들여쓰기 하지 않아도 된다.

a = int(input())

if a >=90:
  print('A')
else:
  if a>=70:
    print('B')
  else:
    if a>=40:
      print('C')
    else:
      print('D')

 

6069. 평가를 문자(A, B, C, D, ...)로 입력받아 내용을 다르게 출력해보자.

평가 내용
평가 : 내용
A : best!!!
B : good!!
C : run!
D : slowly~
나머지 문자들 : what?

a = input()
if a == 'A':
  print('best!!!')
elif a == 'B':
  print('good!!')
elif a == 'C':
  print('run!')
elif a == 'D':
  print('slowly~')
else:
  print('what?')

 

6070. 월이 입력될 때 계절 이름이 출력되도록 해보자.

월 : 계절 이름
12, 1, 2 : winter
  3, 4, 5 : spring
  6, 7, 8 : summer
  9, 10, 11 : fall

예시
...
if n//3==1 :
  print("spring")
...

참고
때때로 수들의 특징을 관찰하고 이용하면 매우 간단히 해결할 수도 있다.

a = int(input())
if a == 12 or a == 1 or a == 2:
  print('winter')
elif a == 3 or a == 4 or a == 5:
  print('spring')
elif a == 6 or a == 7 or a == 8:
  print('summer')
else:
  print('fall')
a = int(input())
if a in [12, 1, 2]:
	print('winter')
elif a in [3, 4, 5]:
	print('spring')
elif a in [6, 7, 8]:
	print('summer')
else:
	print('fall')
a = int(input())
if a//3==1:
	print('winter')
elif a//3==2:
	print('spring')
elif a//3==3:
	print('summer')
else:
  print('fall')

 

6063. 입력된 두 정수(a, b) 중 큰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단, 3항 연산을 사용한다.

예시
a, b = input().split()
a = int(a)  #변수 a에 저장되어있는 값을 정수로 바꾸어 다시 변수 a에 저장
b = int(b)
c = (a if (a>=b) else b)
print(int(c))

참고
3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3항 연산은
"x if C else y" 의 형태로 작성이 된다.
- C : True 또는 False 를 평가할 조건식(conditional expression) 또는 값
- x : C의 평가 결과가 True 일 때 사용할 값
- y : C의 평가 결과가 True 가 아닐 때 사용할 값

조건식 또는 값이 True 이면 x 값이 사용되고, True가 아니면 y 값이 사용되도록 하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0 if 123>456 else 1
과 같은 표현식의 평가값은 123 > 456 의 비교연산 결과가 False 이므로 1이 된다.

예시 코드에서
a>=b 의 결과가 True(참) 이면 (a if (a>=b) else b)의 결과는 a가 되고,
a>=b 의 결과가 False(거짓)이면 (a if (a>=b) else b)의 결과는 b가 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nd a or b)

 

6064. 입력된 세 정수 a, b, c 중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단, 3항 연산을 사용한다.

참고
프로그래밍언어 소스코드 작성시 모든 요소들은
"순서에 따라 한 단계씩 실행"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하나씩 연산 수행"
"그 때까지 연산된 결과를 이용해 다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연산"
...
등의 원리가 적용된다.

따라서 3항 연산을 중첩해(괄호로 묶는 등..) 이용하면 여러 값들을 순서대로 비교해 가장 큰/작은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if a>b else b) if ((a if a>b else b)>c) else c
와 같은 계산식은 a, b, c 의 값 중 가장 큰 값으로 계산된다.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어떤 순서에 따라 계산될 지 생각해보고
여러 가지 연산자가 동시에 사용된 식이 있을 때, 어떤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계산이 되는지 찾아보도록 한다.
“연산자 우선순위”를 검색하면 우선순위와 결합방향이 나온다.
예를 들어 변수에 어떤 값을 대입하는 대입(assign) 연산자 = 의 우선순위는 가장 낮고, 오른쪽에서 왼쪽의 결합방향을 가진다.

** 3항 연산은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복잡한 계산식이나 조건 처리, 비교 구조를 간단히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a, b, c  = map(int, input().split())
d = a < b and a or b
print(d < c and d or c)
a, b, c  = map(int, input().split())
num = a if a < b else b
print( num if num < c  else c)

 

6059. 입력 된 정수를 비트단위로 참/거짓을 바꾼 후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연산자 ~ 를 붙이면 된다.(~ : tilde, 틸드라고 읽는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1이 입력되었을 때 저장되는 1을 32비트 2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고,
~1은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가 되는데 이는 -2를 의미한다.

예시
a = 1
print(~a) #-2가 출력된다.

참고
컴퓨터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된다.
0과 1로만 구성되는 비트단위들로 변환되어 저장되는데,
양의 정수는 2진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되고, 음의 정수는 "2의 보수 표현"방법으로 저장된다.

양의 정수 5를 32비트로 저장하면, 

5의 2진수 형태인 101이 32비트로 만들어져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로 저장된다.(공백은 보기 편하도록 임의로 분리)

32비트 형의 정수 0은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그리고 -1은 0에서 1을 더 빼고 32비트만 표시하는 형태로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로 저장된다.

-2는 -1에서 1을 더 빼면 된다.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로 저장된다.

이러한 내용을 간단히 표현하면, 정수 n이라고 할 때,

~n = -n - 1
-n = ~n + 1 과 같은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관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마치 원형으로 수들이 상대적으로 배치된 것과 같다.

a = ~int(input())
print(a)

 

6060.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and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연산자 &를 사용하면 된다.(and, ampersand, 앰퍼센드라고 읽는다.)

** 비트단위(bitwise)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 된다.

비트단위 and 연산은 두 비트열이 주어졌을 때,
둘 다 1인 부분의 자리만 1로 만들어주는 것과 같다.

이 연산을 이용하면 어떤 비트열의 특정 부분만 모두 0으로도 만들 수 있는데
192.168.0.31   : 11000000.10101000.00000000.00011111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두 개의 ip 주소를 & 연산하면
192.168.0.0 :     110000000.10101000.0000000.00000000 을 계산할 수 있다.

실제로 이 계산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비트단위 연산은 빠른 계산이 필요한 그래픽처리에서
마스크연산(특정 부분을 가리고 출력하는)을 수행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6061.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or, vertical bar, 버티컬바)를 사용하면 된다.

** | 은 파이프(pipe)연산자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11
이 된다.

비트단위 or 연산은 둘 중 하나라도 1인 자리를 1로 만들어주는 것과 같다.

이러한 비트단위 연산은 빠른 계산이 필요한 그래픽처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6062.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x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xor, circumflex/caret, 서컴플렉스/카릿)를 사용하면 된다.

** 주의 ^은 수학식에서 거듭제곱(power)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양은 같지만,
C언어에서는 전혀 다른 배타적 논리합(xor, 서로 다를 때 1)의 의미를 가진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10
이 된다.
이러한 비트단위 연산은 빠른 계산이 필요한 그래픽처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두 장의 이미지가 겹쳐졌을 때 색이 서로 다른 부분만 처리할 수 있다.
배경이 되는 그림과 배경 위에서 움직이는 그림이 있을 때,
두 그림에서 차이만 골라내 배경 위에서 움직이는 그림의 색으로 바꿔주면
전체 그림을 구성하는 모든 점들의 색을 다시 계산해 입히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그림을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행기 슈팅게임 등을 상상해보면 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 a ^ b )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or bool(int(b)))

6052. 정수가 입력되었을 때, True/False 로 평가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n = int(input())
print(bool(n))

참고
bool( ) 을 이용하면 입력된 식이나 값을 평가해 불 형의 값(True 또는 False)을 출력해준다.
식이나 값을 계산해서 결과값이 만들어지는 것을 평가(evaluate)라고 한다. 

python 언어에서 정수값 0은 False(거짓)로 평가되고, 그 외의 값들은 모두 True(참)로 평가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 int(input())
print(bool(a))

 

6053.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을 반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a = bool(int(input()))
print(not a)

참고
a = bool(int(input()))
와 같은 형태로 겹쳐 작성하면,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처리/평가된다.
위와 같은 명령문의 경우 input( ), int( ), bool( ) 순서로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처리/평가된다.

어떤 불 값이나 변수에 not True, not False, not a 와 같은 계산이 가능하다.

참 또는 거짓의 논리값을 역(반대)으로 바꾸기 위해서 not 예약어(reserved word, keywor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NOT 연산(boolean NOT)이라고도 부르고,
프라임 '(문자 오른쪽 위에 작은 따옴표), 바(기호 위에 가로 막대), 문자 오른쪽 위에 c(여집합, complement) 등으로 표시한다.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 거짓의 논리값 인 불(boolean)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 and, or 이 있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not, and, or)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 된다.

정수값 0은 False 이고, 나머지 정수 값들은 True 로 평가된다.
빈 문자열 "" 나 ''는 False 이고, 나머지 문자열들은 True 로 평가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 bool(int(input()))
print(not a)

 

6054.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이 모두 True 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and bool(int(b)))

참고
and 예약어는 주어진 두 불 값이 모두 True 일 때에만 True 로 계산하고, 나머지 경우는 False 로 계산한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AND 연산(boolean AND)이라고도 부르고, · 으로 표시하거나 생략하며, 집합 기호 ∩(교집합, intersection)로 표시하기도 한다.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 거짓의 논리값 인 불(boolean)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 and, or 이 있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not, and, or)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and bool(int(b)))

 

6055.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이 하나라도 True 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참고
or 예약어는 주어진 두 불 값 중에서 하나라도 True 이면 True 로 계산하고, 나머지 경우는 False 로 계산한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OR 연산(boolean OR)이라고도 부르고, + 로 표시하거나, 집합 기호 ∪(합집합, union)로 표시하기도 한다.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 거짓의 논리값 인 불(boolean)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 and, or 이 있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not, and, or)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or bool(int(b)))

 

6056.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True/False) 이 서로 다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
c = bool(int(a))
d = bool(int(b))
print((c and (not d)) or ((not c) and d))

참고
참 거짓이 서로 다를 때에만 True 로 계산하는 논리연산을 XOR(exclusive or, 배타적 논리합) 연산이라고도 부른다.

논리연산자는 사칙(+, -, *, /)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여러 번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사칙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계산 순서를 표시하기 위해 괄호 ( )를 사용할 수 있다.
괄호를 사용하면 계산 순서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수학 식에서는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소괄호 ( ) 만 사용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b = input().split()
a = bool(int(a))
b = bool(int(b))
print(a and (not b) or (not a) and b)

 

6057.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True/False) 이 서로 같을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a, b = input().split()
a = bool(int(a))
b = bool(int(b))
print(not(a) and not(b) or a and b)

 

6058.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True/False) 이 모두 False 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a, b = input().split()
a = bool(int(a))
b = bool(int(b))
print((not a) and (not b))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문제 설명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Kim"의 위치 x를 찾아, "김서방은 x에 있다"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seoul에 "Kim"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제한 사항

 

  •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seoul return
["Jane", "Kim"] "김서방은 1에 있다."

 

 Python 코드

 

def solution(seoul):
    return "김서방은 {}에 있다".format(seoul.index('Kim'))
def solution(seoul):
    for i in range(len(seoul)):
        if "Kim" == seoul[i]:
            a = i
            break
    answer = '김서방은 {}에 있다'.format(a)
    return answer
  • index()를 이용하여 리스트내 특정 값의 주소를 알 수 있다
  • format()을 이용하여 string내에 변수 값을 넣을 수 있다

* 참고 링크 : https://hodunamu.com/python-%EC%84%9C%EC%9A%B8%EC%97%90%EC%84%9C-%EA%B9%80%EC%84%9C%EB%B0%A9-%EC%B0%BE%EA%B8%B0/

def solution(seoul): 
	answer = '' 
    
    x = seoul.index('Kim') 
    answer = '김서방은 '+str(x)+'에 있다' 
    
    return answer

* 참고 링크 : https://wooaoe.tistory.com/69


* index ( ) :  리스트에 x 값이 있으면 x의 위치 값을 돌려준다.

 a = [1,2,3]
 
 a.index(3)
# result : 2

a.index(1)
# result : 0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4

* format ( ) : 문자열 함수

"{} {} {}".format(10, 20, 30)
# result : '10 20 30'
"{0}은 서울에 있다.".format("김서방")
# result : '김서방은 서울에 있다.'
"I eat {0} apples".format(3)
# result : 'I eat 3 apples'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3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vector<string> seoul) {
    string answer = "";
    answer += "김서방은 ";
    
    for(int i = 0; i < seoul.size(); i++){
        if(seoul[i] == "Kim"){
            answer += to_string(i);
        }
    }
    answer += "에 있다";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jjeongil.tistory.com/605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문제 설명

 

단어 s의 가운데 글자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단어의 길이가 짝수라면 가운데 두글자를 반환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 s는 길이가 1 이상, 100이하인 스트링입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abcde" "c"
"qwer" "we"

 

 Python 코드

 

def solution(s):
    return s[(len(s)-1)//2 : len(s)//2+1]
  • 찍수인 경우 // 연산자로 몫을 구하고, 홀수일 경우에도 Slicing으로 계산
def solution(s):

    answer = ''

    if len(s) % 2 == 1:
        return s[int(len(s)/2)]
    else:
        return s[int(len(s)/2)-1 : int(len(s)/2)+1]

* 참고 링크 : https://jeongchul.tistory.com/642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def solution(s):
    # 글자의 길이
    s_length = len(s)
    # 글자의 길이가 홀수인 경우 가운데 글자를 뽑아내기
    if s_length % 2 == 1:
        answer = s[s_length // 2]
    # 글자의 길이가 짝수인 경우 가운데 두 글자를 뽑아내기
    if s_length % 2 == 0:
        answer = s[(s_length // 2) - 1:(s_length // 2) + 1]
    return answer

* 참고 링크 : https://greedysiru.tistory.com/381

  • 나머지 연산자 %
    어떤 정수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이면 홀수, 0이면 짝수.
def solution(s):
	if len(s) % 2 == 1:
    		return 가운데 값
#s의 길이를 2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 홀수면

"""
!POINT!
여기서 == 1은 쓰지 않아도 된다!
왜? 조건문에서는 '기냐 아니냐'를 보기 때문에, 
%를 2로 나눴기 때문에 0과 1의 값만 나오는 상황에서
숫자값 0은 False, 1은 True가 된다.
"""

#나머지가 1이 아니면 = 짝수면
	else:
		return 가운데 값에서 +1, -1 값

 

  • 나누기 연산자 //
def solution(s):
	if len(s) % 2 == 1:
		return s[len(s)//2]

#s의 리스트 s[]를 만들고 = 해당 인덱스의 '값'을 출력하기 위해
#len(s)//2한 인덱스의 값을 반환

	else:
		return 가운데 값에서 +_1 값
  • 최종 코드

 

def solution(s):
	if len(s) % 2 == 1:
		return s[len(s)//2]
	else:
		return s[(len(s)//2-1) : (len(s)//2+1)]

#짝수에서 출력하는 인덱스의 
#-1값 == len(s)//2-1)과 
#+1값 == (len(s)//2+1)을 함께 반환하자

* 참고 링크 : https://velog.io/@joy/%ED%8C%8C%EC%9D%B4%EC%8D%AC%EC%9C%BC%EB%A1%9C-%EA%B0%80%EC%9A%B4%EB%8D%B0-%EA%B8%80%EC%9E%90-%EA%B0%80%EC%A0%B8%EC%98%A4%EA%B8%B0

* 파이썬에수 함수를 쓰는 공식

def 함수명(인풋):
		코드1
		코드2 
		...
		return 아웃풋
        
#s라는 단어에 영향을 주는 solution라는 함수를 만들라고 했으니까

def solution(s):
    return 아웃풋

* 참고 링크 : https://velog.io/@joy/%ED%8C%8C%EC%9D%B4%EC%8D%AC%EC%9C%BC%EB%A1%9C-%EA%B0%80%EC%9A%B4%EB%8D%B0-%EA%B8%80%EC%9E%90-%EA%B0%80%EC%A0%B8%EC%98%A4%EA%B8%B0

 

* 산술 연산자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153

 

* len() 함수 : 매개변수로 들어온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

- 내부에 있는 문자의 갯수 및 공백을 포함한 카운팅을 하여 반환해주는 함수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때 용이

strlen = "HelloWorld"
print(len(strlen))

# 결과값 10

 

* Slicing(슬라이싱) : 연속적인 객체들에 범위를 지정한 후 선택해서 객체들을 가져오는 방법

- 기본 형태

a[start : end : step]
  • start : 슬라이싱을 시작할 시작 위치
  • end : 슬라이싱을 끝낼 위치로 end는 포함되지 않음
  • step : stride(보폭)라고도 불리며, 몇 개씩 끊어서 가져올지와 방향을 정하는 옵션

- 인덱스 값들의 위치

a = ['a', 'b', 'c', 'd', 'e']

# Index References
# -------------------------------
# |  a  |  b  |  c  |  d  |  e  |
# -------------------------------
# |  0  |  1  |  2  |  3  |  4  |    // 양수의 경우
# -------------------------------
# | -5  | -4  | -3  | -2  | -1  |    // 음수의 경우
# -------------------------------

 

- 특정 시작위치부터 끝까지 가져오기

  • a[ start : ]
a = ['a', 'b', 'c', 'd', 'e']

a[ 1 : ]
# result : ['b', 'c', 'd', 'e']

a[ -3 : ]
# result : ['c', 'd', 'e']

 

- 시작점부터 특정 위치까지 가져오기

  • a[ : end ]
a = ['a', 'b', 'c', 'd', 'e']
a[ : 2 ]

# result : ['a', 'b']

 

- 특정 위치부터 특정 위치까지 모두 가져오기

  • a[ start : end ]
a = ['a', 'b', 'c', 'd', 'e']

a[ 2 : 4 ]
# result : ['c', 'd']


a[ -4 : -2 ]
# result : ['b', 'c']

* 참고 링크 : https://twpower.github.io/119-python-list-slicing-examples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static const size_t TWO = 2;
    const size_t length = s.length();
    
    if(length % TWO == 0)
    {
        //짝수
        answer += s[length / 2 - 1];
        answer += s[length / 2];
    }
    else
    {
        //홀수
        answer += s[length / 2];
    }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blockdmask.tistory.com/275

두 정수 사이의 합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사항

 

  •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 b return
3 5 12
3 3 3
5 3 12

 

 Python 코드

 

def solution(a, b):
    if a > b : 
        a , b = b , a
    return sum(range(a, b+1))

 

def solution(a, b):

    answer = 0

    for i in range(min(a,b), max(a,b)+1):
    
        answer += i
        
    return answer

 

def solution(a, b):

    return ( abs(a - b) + 1)  * ( a + b ) // 2
  • 수학 공식 사용
  • 1부터 N까지의 총합은 N(N+1)/2 
  • a에서 b까지의 총합 ((a-b)+1) * (a+b) // 2

* 참고 링크 1 : https://jeongchul.tistory.com/645

* 참고 링크 2 : https://velog.io/@cosmos/Programmers%ED%94%84%EB%A1%9C%EA%B7%B8%EB%9E%98%EB%A8%B8%EC%8A%A4-%EB%91%90-%EC%A0%95%EC%88%98-%EC%82%AC%EC%9D%B4%EC%9D%98-%ED%95%A9-python

* abs ( ) 함수 : 어떤 숫자를 입력받았을 때, 그 숫자의 절댓값을 돌려주는 함수

abs(3)
# result : 3

abs(-3)
# result : 3

abs(-1.2)
# result : 1.2

 

* min( ) 함수 : min(iterable)은 max 함수와 반대로, 인수로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그 최솟값을 돌려주는 함수

min([1, 2, 3])
# result : 1

min("python")
# result : 'h'

 

* max( ) 함수 : max(iterable)는 인수로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그 최댓값을 돌려주는 함수

max([1, 2, 3])
# result : 1

max("python")
# result : 'y'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32

 

 C++ 코드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clude <stdlib.h>

long long solution(int a, int b) {
    long long answer = 0;
    
    long long sum = 0;
    if ( a > b ){
        for ( int i = b; i < a+1; i++)
            answer += i;
    } 
    else if ( a < b ) {
        for ( int i = a; i < b+1; i++)
            answer += i;
    }
    else {
        answer = a;
    }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jjeongil.tistory.com/6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