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 비중은 작지만 🚨
- 실제 회사에서는 돈을 아끼고(비용 최적화),
빠르게 잘 돌아가게(성능 최적화) 하는 게 아주 중요해요.
👉 비유:
- 비용 최적화 = 용돈 절약 🪙
- 성능 최적화 = 시험 공부할 때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 찾기 ✏️
- AWS Trusted Advisor = 선생님 조언 👩🏫 (낭비하는 리소스 알려줌)
- Cost Explorer = 가계부 📒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확인)
- AWS Budgets = 용돈 한도 설정 💵 (넘으면 알림)
- 태그(Tag) = 이름표 붙이기 🏷️ (부서별, 프로젝트별 비용 추적)
- 스팟 인스턴스 = 땡처리 세일 상품 🛒 (싸지만 언제 사라질 수 있음)
- 예약 인스턴스/저장용량 예약 = 정기권 🎫 (장기 이용 시 할인)
- 관리형 서비스 (RDS, Fargate, EFS) = 학원 버스 🚌 (직접 운전 안 해도 됨 → 시간·돈 절약)
- EC2 인스턴스 종류 = 운동선수 선택 🏃♂️ (달리기, 수영, 씨름 선수처럼 필요에 맞게 선택)
- 향상된 네트워킹 / 배치 그룹 = 초고속 도로 🛣️ (빠른 데이터 통신)
- EBS 지표 확인 = 건강검진 결과 📊 (디스크 상태, 속도 확인)
- S3 Transfer Acceleration = 택배 항공편 ✈️ (멀리서도 빠르게 전송)
- S3 멀티파트 업로드 = 레고 블록 조립 🧱 (큰 파일을 조각내서 빨리 업로드)
- RDS 성능 지표 = 성적표 📑 (데이터베이스 상태 확인)
- RDS Proxy / 성능 개선 도우미 = 공부 과외 선생님 👨🏫 (효율적으로 연결 관리, 문제 알려줌)
📝 비용 태그(JSON 예시)
{
"Key": "Project", // 태그 이름: 어떤 프로젝트인지
"Value": "ShoppingApp" // 태그 값: 쇼핑 앱 프로젝트
}
👉 설명: EC2나 S3 같은 리소스에 "이건 쇼핑앱 프로젝트용이야" 라고 이름표를 붙이는 것.
이렇게 하면 나중에 비용을 프로젝트별로 확인할 수 있어요.
💼 현업에서 어떻게 쓰일까?
- 스타트업
- 스팟 인스턴스 활용 → 개발 서버 비용 절감
- 금융사
- RDS Proxy → 동시에 많은 고객이 접속해도 빠르게 처리
- 게임사
- CloudFront + S3 Transfer Acceleration → 전 세계 게이머에게 업데이트 빠르게 전달
- 대기업 IT팀
- Cost Explorer + Budgets → 부서별 클라우드 비용 관리
- 태그 붙여서 “마케팅팀” vs “개발팀” 비용 따로 확인
- e커머스 회사
- EBS 지표 보고 성능 부족하면 SSD 타입으로 교체 → 결제 지연 방지
🧾 정리
- 비용 최적화 = 돈 아끼기 (가계부, 세일 상품, 이름표 관리)
- 성능 최적화 = 빠르고 효율적으로 (초고속 도로, 택배 항공편, 과외 선생님)
- 시험 팁: 보안과 함께 비용·성능 최적화까지 고려된 답이 정답일 확률 ↑
- "더 빠르게 하려면 돈이 많이 든다" → 보통 이렇게 생각해요.
- 하지만 AWS에서는 비용(돈)과 성능(속도) 을 같이 최적화할 수 있어요!
- 즉, 똑똑하게 선택하면 빠르고 싸게 둘 다 잡을 수 있어요 😎
👉 비유:
- 비용 최적화 = 용돈 아껴 쓰기 🪙
- 성능 최적화 = 시험 문제 빨리 푸는 방법 찾기 ✏️
- AWS는 서버를 사는 게 아니라 빌리는 것 🏠
- 쓰고 싶을 때만 켜고, 다 쓰면 꺼서 요금 STOP! ⏹️
👉 예시:
- 6시간 필요한 작업 → EC2 켜서 딱 6시간만 사용
- 큰 숙제를 혼자 하면 6시간 ⏳
- 6명이 같이 하면 1시간만에 끝! 🙌
- AWS도 이렇게 병렬 처리(Parallel Workload) 를 지원해요.
👉 단점:
- 더 많은 컴퓨터(EC2)를 켜야 해서 순간 비용은 ↑
👉 장점: - 전체 시간 단축 → 결과적으로 효율적
- 마트에서 "땡처리 세일" 상품 사는 것과 같아요 🛒
- 싸게 빌릴 수 있지만, 언제 회수될지 몰라요.
- 긴급하지 않은 작업에 사용하면 비용 절약 👍
- EC2 인스턴스는 필요에 맞게 고를 수 있어요 🏋️♂️
- 메모리 많은 서버? 🧠
- CPU 파워 강한 서버? 💪
- 작업에 맞게 골라 쓰면 성능이 좋아져요.
📝 EC2 스팟 인스턴스 요청 JSON 예시
{
"InstanceType": "m5.large", // 인스턴스 종류 (중간 크기 서버)
"SpotPrice": "0.05", // 시간당 내가 낼 최대 가격 ($0.05)
"InstanceCount": 3, // 실행할 서버 개수 (3대)
"Action": "request" // 스팟 인스턴스 요청
}
🔎 한 줄씩 설명
- "InstanceType": "m5.large" → 필요한 서버 크기 선택
- "SpotPrice": "0.05" → "나는 5센트까지만 낼래!"
- "InstanceCount": 3 → 서버 3대 동시에 실행
- "Action": "request" → 스팟 인스턴스 요청 시작
👉 즉, "세일 서버 3대 주세요! 단, 5센트 이상이면 안 사요~" 라는 뜻이에요.
💼 현업에서 어떻게 쓰일까?
- 연구소
- 빅데이터 분석 작업을 병렬 처리 → 10시간 걸릴 걸 2시간 만에 끝냄
- 게임 회사
- 긴급하지 않은 테스트 서버는 스팟 인스턴스로 실행 → 비용 70% 절약
- 금융사
- RDS(데이터베이스) 지표 모니터링 → 성능 부족 시 빠른 업그레이드
- 스타트업
- AWS Budgets로 비용 초과 시 알람 → 클라우드 요금 폭탄 방지
- e커머스
- 큰 이미지 파일 업로드 시 S3 멀티파트 업로드 사용 → 업로드 실패 줄이고 성능 개선
🧾 정리
- AWS에서는 비용 절약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할 수 있어요.
- 👉 핵심 방법:
- 필요할 때만 쓰기
- 병렬 처리로 빨리 끝내기
- 스팟 인스턴스로 절약
- 작업에 맞는 인스턴스 선택
시험 문제에서도 항상 **“비용 + 성능 둘 다 고려된 답”**이 정답일 확률이 높습니다 ✅
'AWS > Skill Builder_AWS SOA-C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OA-C02 Domain 5 Review (0) | 2025.09.19 |
---|---|
AWS SOA-C02 Domain 4 Review (0) | 2025.09.19 |
AWS SOA-C02 Domain 3 Review (0) | 2025.09.18 |
AWS SOA-C02 Domain 1 Review (0) | 202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