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06)
2025-10-27 21:33:02
반응형
반응형
2025-10-27 21:32:20
반응형
반응형
2025-10-26 15:26:50
반응형

☁️ 영역 2 - 확장 가능하고 느슨하게 결합된 아키텍처 설계


🎯 목표

  • 복원력(Resilience) 있는 시스템 설계
  • 확장성(Scalability) 확보
  •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구조 유지
  •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 지속 가능

🔧 1️⃣ 크기 조정(Scaling)의 개념

유형 설명 예시
수직적 확장 (Vertical Scaling) 서버의 성능을 향상 (CPU, RAM 업그레이드) EC2 인스턴스 타입을 t3.micro → t3.large 로 변경
수평적 확장 (Horizontal Scaling) 서버 개수를 늘리거나 줄임 Auto Scaling Group에서 인스턴스 수 조절

💡 탄력성(Elasticity)
→ 수요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를 확장/축소하는 능력
→ AWS Auto Scaling, EC2 Auto Scaling 활용


⚙️ 2️⃣ 컴퓨팅 옵션 비교

유형 설명 특징
🧩 EC2 가상 인스턴스 자유도 높지만 관리 필요
🐳 컨테이너(ECS / EKS)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패키징 관리형 클러스터, 이식성 우수
서버리스(Lambda) 서버 관리 불필요 짧은 실행, 이벤트 기반

💬 상황에 따라 선택:

  • 고정된 트래픽 → EC2 + Auto Scaling
  • 이벤트 중심, 비정기적 트래픽 → Lambda
  •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 ECS / EKS

🧠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서비스 유형 특징
💾 Amazon RDS 관계형 DB Multi-AZ로 고가용성
Amazon Aurora 클라우드 네이티브 RDB 고성능, 자동 복제
🌐 Amazon DynamoDB NoSQL 짧은 지연 시간, 자동 확장
🧮 Amazon Redshift 데이터 웨어하우스 대규모 분석용

✅ 성능 및 복원력 향상

  • 읽기 전용 복제본 (Read Replica) : 읽기 트래픽 분산
  • Multi-AZ : 고가용성 (Standby 복제)
  • RDS Proxy : 연결 풀링, 복원력 향상

🚀 4️⃣ 캐싱(Cache) 전략

서비스 역할 특징
🌍 Amazon CloudFront 글로벌 캐시 CDN 정적 콘텐츠 전송
💾 Amazon ElastiCache 인메모리 캐시 Redis / Memcached 지원
⚙️ DAX (DynamoDB Accelerator) DynamoDB 캐시 밀리초 응답 시간

💡 캐싱은 DB 읽기 부하를 줄이고 응답속도 향상에 핵심 역할


🔒 5️⃣ 엣지 및 전송 서비스

서비스 기능 사용 목적
🌎 Amazon Route 53 DNS 라우팅 가용성 및 트래픽 제어
AWS Global Accelerator TCP/UDP 전송 가속 글로벌 성능 최적화
📦 AWS Transfer Family 파일 전송 자동화 SFTP/FTPS 지원, 서버 관리 불필요

🧩 6️⃣ 마이크로서비스 및 분산 시스템 설계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 구성 요소 간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더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 단위
  • API 기반 통신 (REST / GraphQL / gRPC)

💬 이점

  • 독립적 배포 및 확장 가능
  • 장애 격리성 향상
  • 빠른 개발 주기

🔄 7️⃣ 동기 vs 비동기 통합

유형 설명 예시
동기식(Synchronous) 요청-응답 구조로 실시간 상호작용 필요 ALB → EC2, API Gateway → Lambda
비동기식(Asynchronous) 메시지 큐로 구성요소 간 분리 SQS, SNS, EventBridge

💡 비동기 분리는 장애 시에도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이 정상 동작 가능


🧩 8️⃣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구현 서비스

서비스 역할 설명
📬 Amazon SQS 메시지 큐 컴포넌트 간 비동기 통신
🔔 Amazon SNS 알림/이벤트 브로커 Fan-out 구조 가능
🧩 Amazon EventBridge 이벤트 버스 서비스 간 이벤트 기반 통합
🌀 API Gateway 마이크로서비스 API 통신 허브 Lambda, Fargate 등과 연결

🏗️ 9️⃣ 대표 아키텍처 예시 (Mermaid 다이어그램)

 

🧭1️⃣0️⃣ 설계 시 고려할 주요 서비스

  • 🏗 Application Load Balancer (ALB) – 트래픽 분산
  • 🐳 AWS Fargate – 서버리스 컨테이너 실행
  • ⚙️ Amazon ECS / EKS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 AWS Secrets Manager – 자격 증명 및 암호 관리
  • 🔄 AWS Lambda – 이벤트 기반 서버리스 컴퓨팅
  • 📡 Amazon API Gateway – API 엔드포인트 관리

✅ 핵심 요약

핵심 요소 주요 포인트
확장성 (Scalability) Auto Scaling, SQS, Lambda 동시성
느슨한 결합 (Loose Coupling) SQS, SNS, EventBridge, ALB
복원력 (Resilience) Multi-AZ, Read Replica, 캐시, 장애 격리
비용 최적화 Auto Scaling, 서버리스, S3 Intelligent-Tiering

🧩 참고 AWS 서비스 맵

  • 컴퓨팅: EC2, Lambda, Fargate
  • 데이터베이스: RDS, DynamoDB, Aurora
  • 스토리지: S3, EFS, FSx
  • 네트워킹: ALB, Route 53, Global Accelerator
  • 통합/메시징: SQS, SNS, EventBridge
  • 보안/관리: Secrets Manager, CloudWatch, CloudTrail

☁️ 영역 2 - 고가용성(HA) 및 내결함성(FT) 아키텍처 설계


🎯 학습 목표

  •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내결함성(Fault Tolerance),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의 차이 이해
  • AWS 서비스 기반 고가용성 구성 방법 습득
  • RTO/RPODR 전략(Active-Passive / Active-Active) 설계
  • 단일 장애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 SPOF) 제거

🧱 1️⃣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HA)

시스템이 가능한 한 자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것

🔍 특징

  •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또는 빠른 교체
  • 짧은 가동 중단 시간 허용 가능
  • 완전 무중단은 아니지만, 서비스 지속성에 초점

💡 예시

  • EC2 인스턴스를 1대만 운영 → 장애 시 서비스 중단
  • Auto Scaling + Multi-AZ 배포 구성
    → 한 인스턴스가 중단되면 다른 AZ의 인스턴스로 장애 조치(Failover)

⚙️ 2️⃣ 내결함성(Fault Tolerance, FT)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작동하는 설계

🔍 특징

  •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 무중단 유지
  • 실시간 장애 감지 및 자동 대체
  • 비용은 높지만 가장 높은 복원력(Resilience) 보장

💡 예시

  • 두 서버를 모두 활성(Active-Active) 상태로 운영
  • 한 서버 장애 시 자동 트래픽 전환
  • 사용자는 중단 없이 서비스 이용 가능

🔁 3️⃣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DR)

예기치 않은 재해(화재, 지진,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시스템 복원 절차를 설계하는 것

🔍 핵심 요소

항목 설명
🕒 RTO (Recovery Time Objective) 서비스 중단 후 복원까지 허용되는 최대 시간
📅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데이터 손실 허용 가능한 최대 시간 (백업 주기 결정)

💡 DR 전략 유형

전략 설명 비용 복구 속도
🧊 백업 & 복원 (Backup & Restore) S3/Glacier에 백업, 필요 시 복원 💲 낮음 🕒 느림
🔥 파일럿 라이트 (Pilot Light) 최소 구성만 유지, 필요 시 전체 확장 💲 중간 ⚡ 보통
🌡️ 웜 스탠바이 (Warm Standby) 축소된 형태의 운영 환경 유지 💲 중상 ⚡ 빠름
💡 액티브-액티브 (Active-Active) 모든 리전에서 동시에 운영 💲 높음 ⚡⚡ 매우 빠름

🌍 4️⃣ AWS 글로벌 인프라와 고가용성 설계

📦 AWS 구성 요소 계층

계층 설명
🌐 Region (리전) 지리적으로 독립된 AWS 인프라 단위
🧭 Availability Zone (AZ) 리전 내 독립 전력/네트워크를 가진 데이터센터
🧱 Edge Location CloudFront, Route 53 캐시를 위한 전 세계 엣지 노드

💡 Multi-AZ 배포는 AZ 장애 시 자동으로 다른 AZ로 장애 조치
💡 Multi-Region 배포는 리전 전체 장애 시 복구 가능 (Active-Passive / Active-Active)


🔒 5️⃣ 데이터베이스의 HA & DR

서비스 기능 특징
💾 Amazon RDS (Multi-AZ) 자동 장애 조치 가용성 중심
Aurora Global Database 교차 리전 복제 빠른 복구 (1분 미만)
🌐 DynamoDB Global Tables 리전 간 실시간 동기화 내결함성 보장
🧩 RDS Proxy DB 연결 풀링 및 Failover 단축 장애 조치 시간 66% 단축

🗂️ 6️⃣ 스토리지 및 백업 복원

서비스 역할 특징
🧱 Amazon S3 백업 및 아카이브 11 9s(99.999999999%) 내구성
💾 Amazon EFS / FSx 파일 스토리지 AZ 간 중복 저장
🧊 S3 Glacier 장기 보관 저비용 백업
🧩 AWS Elastic Disaster Recovery (DRS)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복구 자동화 레거시 지원

⚙️ 7️⃣ AWS 네트워킹 구성과 복원력

서비스 역할 설명
🛰️ Route 53 DNS 기반 장애 조치 라우팅 지연 시간 / 장애 조치 / 가중치 라우팅 지원
Global Accelerator TCP/UDP 네트워크 성능 가속 글로벌 사용자 연결 최적화
🔀 Transit Gateway 여러 VPC 간 중앙 라우팅 허브 단일 장애 지점 제거
🔗 Direct Connect / VPN 온프레미스 연결 고속, 안정적 네트워크 통신

🧩 8️⃣ 배포 및 복구 자동화 서비스

서비스 기능
🌱 AWS CloudFormation 인프라 자동 복구 및 프로비저닝
☁️ Elastic Beanstalk 애플리케이션 자동 배포 및 확장
🐳 ECS / EKS (컨테이너) 고가용성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OpsWorks / CodeDeploy 구성 관리 및 자동 롤백

🧠 9️⃣ 모니터링 & 지속 개선

서비스 역할
👁️ Amazon CloudWatch 지표 수집, 알람, 자동화 트리거
🔍 AWS X-Ray 애플리케이션 요청 추적 (분산 추적)
🧠 Amazon Inspector 취약점 스캔 및 보안 진단
🤖 Amazon CodeGuru 코드 품질 분석 및 성능 개선
🧩 Amazon EventBridge 실시간 이벤트 기반 자동 대응

🗣️ 1️⃣0️⃣ AI 기반 고가용성 활용 예시

서비스 역할 사용 예시
🗣️ Amazon Polly 텍스트 → 음성 변환 고객센터, 셀프 서비스 음성 안내
🧠 Amazon Comprehend 자연어 분석 IT 서비스 요청 자동 분류

💡 예시: Comprehend로 요청 카테고리 자동 분류 → Polly가 음성으로 안내 → Connect가 셀프 서비스 제공


🧩1️⃣1️⃣고가용성 아키텍처 예시 (Mermaid)

 

🧾 1️⃣2️⃣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고가용성(HA) 장애 발생 시 빠르게 복구하는 시스템
내결함성(FT) 장애 발생 중에도 중단 없이 작동
재해 복구(DR) 대규모 장애 후 신속한 복원 전략
RTO/RPO 복구 목표 시간 및 데이터 손실 허용치
대표 서비스 RDS Multi-AZ, Aurora Global DB, Route 53, Global Accelerator, DRS, CloudFormation

🧭 마무리

고가용성과 내결함성은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의 “신뢰성(Reliability)” 핵심 원칙입니다.
아키텍처 설계 시 다음 3가지를 항상 체크하세요.

1️⃣ 단일 장애 지점 제거 (SPOF)
2️⃣ Multi-AZ / Multi-Region 설계
3️⃣ 자동화된 복구 프로세스 구성


☁️ 영역 2 복습 - 확장 가능하고 복원력 있는 아키텍처 설계


🎯 핵심 목표

  • 확장성(Scalability)탄력성(Elasticity) 이해
  •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내결함성(Fault Tolerance) 차이 구분
  • AWS 글로벌 인프라 기반 복원력 설계
  •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DR) 전략 이해
  • 워크로드 모니터링 & 자가 복구 환경 구축

🚀 1️⃣ AWS 클라우드의 핵심 이점

항목 설명
🧠 용량 추측 불필요 필요한 만큼 자동 확장 / 축소
💰 비용 효율성 사용한 만큼만 지불 (Pay-as-you-go)
⚙️ 자동화된 확장성 Auto Scaling / Elastic Load Balancing
🌎 글로벌 인프라 다중 AZ & 다중 리전 기반 복원력

🧩 2️⃣ 고가용성(HA) vs 내결함성(FT)

구분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 내결함성 (Fault Tolerance)
🧱 정의 장애 발생 시 빠르게 복구하여 서비스 지속 장애 발생 중에도 시스템이 중단 없이 동작
중단 시간 약간의 중단 허용 무중단 (Zero downtime)
💰 비용 중간 높음
⚙️ 예시 Multi-AZ RDS, Auto Scaling, ALB Active-Active Aurora Global DB

🧭 3️⃣ AWS 글로벌 인프라 활용

계층 설명
🌐 Region 지리적으로 분리된 AWS 데이터센터 그룹
🏢 Availability Zone (AZ) 독립된 전원·네트워크를 가진 가용 단위
📍 Edge Location CloudFront, Route 53 등 엣지 네트워크

💡 Multi-AZ + Multi-Region 설계는
서버, 스토리지, DB 장애에도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돕습니다.


⚙️ 4️⃣ 자가 복구(Self-Healing) 환경을 위한 핵심 서비스

서비스 역할
⚖️ Elastic Load Balancing (ELB) 여러 인스턴스 간 트래픽 분산 및 장애 감지
📈 Amazon EC2 Auto Scaling 인스턴스 자동 추가/제거, 비정상 인스턴스 교체
🛰️ Route 53 (Failover Routing) 리전 단위 장애 발생 시 다른 리전으로 트래픽 전환
🌍 AWS Global Accelerator TCP/UDP 트래픽 지연 최소화 및 글로벌 복원력 향상

🔁 5️⃣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전략 비교

전략 설명 비용 💰 복구 속도 ⚡
🧊 백업 & 복원 S3, Glacier에 백업 후 필요 시 복원 낮음 느림
🔥 파일럿 라이트 핵심 구성만 유지 후 필요 시 확장 중간 보통
🌡️ 웜 스탠바이 축소된 프로덕션 환경 유지 중상 빠름
💡 액티브-액티브 모든 리전 동시 운영 높음 매우 빠름

💡 RTO(복구시간목표) & RPO(복구시점목표)를 기준으로 선택해야 함.


🧠 6️⃣ AWS 서비스별 복원력 내장 기능

서비스 내장 복원력 기능 사용 예시
💻 EC2 Auto Scaling 인스턴스 자동 교체 / 증감 트래픽 급증 시 수평 확장
⚖️ Elastic Load Balancer 트래픽 자동 분산 웹 서버 장애 시 자동 우회
🧾 RDS Multi-AZ 자동 장애 조치(Failover) DB 가용성 확보
Aurora Global DB 교차 리전 복제 리전 장애 대비
📬 SQS / SNS / EventBridge 비동기 메시징 서비스 간 결합도 최소화
🐳 ECS / Fargate 자동 리스타트, 헬스체크 컨테이너 복원력
🧠 Lambda 서버리스 확장성 짧은 처리 이벤트 기반 애플리케이션

🧱 7️⃣ 상태(State) 관리 전략

유형 설명 예시
⚙️ Stateless (비상태) 인스턴스 교체 시 데이터 의존 없음 웹 서버, Lambda 함수
💾 Stateful (상태 유지) 인스턴스에 데이터 저장 RDS, EFS, 세션 유지

💡 Stateless 아키텍처는 확장성과 복원력 측면에서 유리
💡 Stateful 컨테이너는 EFS, FSx 등 외부 스토리지 연결로 해결 가능


🧰 8️⃣ 세션 관리와 로드 밸런싱

  • Application Load Balancer (ALB) 기본 라우팅 → 요청을 무작위로 배분
  • 스티키 세션(Sticky Session) → 사용자를 특정 인스턴스에 고정
    • 세션 유지가 필요한 로그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유용
    • 단, 인스턴스 장애 시 세션 손실 위험 있음

9️⃣ 캐싱 & 읽기 부하 분산 전략

서비스 역할 특징
🧠 Amazon ElastiCache (Redis/Memcached) 데이터 캐싱 DB 쿼리 부하 감소
DynamoDB Accelerator (DAX) NoSQL 캐시 밀리초 응답 시간
🧩 RDS Read Replica 읽기 부하 분산 읽기 성능 향상 (복제 기반)

💡 캐싱은 지연 시간 단축 + 비용 절감 + DB 부하 감소의 핵심 전략


🔍1️⃣0️⃣ 모니터링 & 가시성 확보

서비스 기능 설명
👁️ Amazon CloudWatch 지표 수집 & 알람 인스턴스/서비스 상태 모니터링
🕵️ AWS X-Ray 분산 추적 요청 흐름 분석 및 병목 탐지

💡 CloudWatch 알람 + Auto Scaling 정책 = 자가 복구(Self-healing) 시스템 구축


🧩 1️⃣1️⃣ 복원력 있는 아키텍처 예시

 

✅ 1️⃣2️⃣ 핵심 정리 요약

핵심 주제 주요 포인트
확장성 (Scalability) Auto Scaling, Load Balancing
복원력 (Resilience) Multi-AZ, Multi-Region, Self-Healing
고가용성 (HA) 장애 발생 시 빠른 복구
내결함성 (FT) 장애 중에도 서비스 지속
재해 복구 (DR) Backup & Restore, Pilot Light, Warm Standby
모니터링 CloudWatch, X-Ray
비동기 분리 SQS, SNS, EventBridge
상태 관리 Stateless 아키텍처 + EFS 통합
캐시 활용 ElastiCache, DAX, Read Replica

🧭 마무리

  • AWS 클라우드의 자동 확장 + 복원력 + 관리형 서비스 조합은
    기존 인프라 대비 가용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 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포인트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1️⃣ Auto Scaling vs Elastic Load Balancing
    2️⃣ Stateless vs Stateful
    3️⃣ RDS Multi-AZ vs Read Replica
    4️⃣ Route 53 Failover vs Global Accelerator
반응형
2025-10-24 06:05:56
반응형
✅ 이 문제는 AWS Config의 대표적인 사용 목적(컴플라이언스 및 구성 변경 추적)을 정확히 묻고 있습니다.

📘 Q612

A company has a compliance requirement to record and evaluate configuration changes,
as well as perform remediation actions on AWS resources.
Which AWS service should the company use?

한 회사에서는 구성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평가하며,
AWS 리소스에 대한 수정 조치를 수행해야 하는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어떤 AW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합니까?


✅ 정답: A. AWS Config


🧠 해설:

AWS Config는 AWS 리소스의 구성 변경 사항(Configuration Changes) 을 추적하고
컴플라이언스(규정 준수) 상태를 자동으로 평가하며,
필요 시 자동 복구(Remediation) 도 수행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즉, “누가 어떤 리소스를 만들었는가?”가 아니라
“리소스의 설정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추적하는 서비스입니다.


⚙️ 주요 기능 요약

기능 설명
🔍 구성 변경 기록 (Configuration Recording) EC2, S3, IAM 등 AWS 리소스의 속성 변경을 자동 기록
🧾 규정 준수 평가 (Compliance Evaluation) 미리 정의된 규칙(예: 암호화 미적용, 퍼블릭 S3 등)에 따라 리소스 상태를 평가
🔁 자동 수정 (Remediation) 비규정 상태(non-compliant) 리소스를 자동으로 수정 (예: Lambda 트리거)
📜 구성 이력(Configuration History) & 스냅샷(Snapshot) 시간에 따른 리소스 변경 내역을 S3에 저장 가능
📈 AWS Config Rules + Aggregator 여러 계정/리전의 컴플라이언스 현황을 중앙집중식으로 관리 가능

🧩 유사 서비스 비교

서비스 주요 목적 차이점
AWS Config 리소스 구성 변경 추적 및 규정 준수 평가 “리소스의 상태 변화” 를 감시
AWS CloudTrail API 호출 및 사용자 활동 추적 “누가 언제 어떤 행동을 했는가” 를 기록
AWS Trusted Advisor 비용/보안/성능 모범 사례 점검 실시간 “조언” 제공, 자동 추적 기능은 제한적
AWS Security Hub 보안 상태 종합 대시보드 AWS Config와 통합하여 보안 규정 준수 평가 강화 가능

🔒 예시 시나리오

상황 해결 방법
S3 버킷이 퍼블릭 액세스로 변경됨 AWS Config가 변경 탐지 후 경고 및 Lambda 트리거로 자동 수정
EC2 인스턴스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EBS 사용 AWS Config Rule에서 비규정 상태로 감지하고 경고

✅ 정답 요약

구성 변경 추적, 규정 준수 평가, 자동 수정(remediation)이 필요한 경우
AWS Config를 사용해야 합니다.


✅ 이 문제는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의 5가지 기둥(pillars) 중에서 어떤 항목이 해당되는지를 묻는 전형적인 CLF-C02 / SAA-C03 공통 문제입니다.

📘 Q619

A company is designing workloads in the AWS Cloud.
The company wants the workloads to perform their intended function correctly and consistently throughout their lifecycle.

회사는 AWS 클라우드에서 워크로드를 설계하고 있으며,
워크로드가 수명 주기 내내 의도된 기능을 올바르고 일관되게 수행하기를 원합니다.

➡ Which pillar of the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does this goal represent?


✅ 정답: C. Reliability (안정성)


🧠 해설:

**Reliability Pillar (안정성 기둥)**은
워크로드가 의도된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복구(resilience)와 일관성(consistency) 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즉, “시스템이 끊김 없이 신뢰성 있게 작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Reliability Pillar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 Foundations (기반) 충분한 리소스 할당, IAM 권한 및 네트워크 설계 포함
🔁 Workload Architecture (워크로드 아키텍처) 고가용성(HA)과 장애 허용성(Fault Tolerance)을 보장하는 설계
🔄 Change Management (변경 관리) 시스템 변경 시에도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적용
🧱 Failure Recovery (장애 복구) 장애 시 자동 복구(Auto Recovery) 또는 리전/존 단위 복원력 확보

🧩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5대 기둥 요약

Pillar 핵심 목적 키워드
1️⃣ Operational Excellence (운영 우수성) 운영 프로세스 자동화, 모니터링, 개선 DevOps, 자동화, 관찰성
2️⃣ Security (보안) 데이터 보호, IAM, 인프라 보안 강화 암호화, 최소 권한, 로깅
3️⃣ Reliability (안정성) 장애 복구, 일관된 성능 유지 복원력, 장애 허용, 백업
4️⃣ Performance Efficiency (성능 효율성)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 사용 오토 스케일링, 적합한 리소스 크기
5️⃣ Cost Optimization (비용 최적화)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면서 비용 최소화 리저브드 인스턴스, 사용량 기반 비용 관리

❌ 오답 분석

보기 설명 오답 이유
A. Operational Excellence 운영 프로세스 개선, 코드 배포, 자동화 관련 워크로드 안정성과 직접적 연관 없음
B. Security 데이터와 시스템 보호 중심 “정확한 기능 수행”이 아니라 “보안 위험 관리”가 초점
D. Performance Efficiency 리소스 효율성 중심 성능 최적화와 관계 있지만, "일관성 있는 기능 수행"은 안정성 영역

✅ 정답 요약

워크로드가 의도된 기능을 올바르고 일관되게 수행하도록 설계하려면
Reliability (안정성) 기둥이 핵심입니다.


✅ 이 문제는 AWS 서비스 관리 도구 중 인터페이스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를 묻는 기본형 문제입니다.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 CLF-C02 단골문제입니다.)

📘 Q633

Which AWS service or tool provides users with a graphical interface that they can use to manage AWS services?

어떤 AWS 서비스 또는 도구가 사용자가 AWS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합니까?


✅ 정답: C. AWS Management Console


🧠 해설

AWS Management Console은 웹 기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로,
AWS의 모든 주요 서비스(EC2, S3, IAM, RDS 등)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즉, AWS 서비스를 명령어 없이 마우스로 클릭해 조작할 수 있는 콘솔 환경입니다.


🖥️ AWS 서비스 관리 방식 비교표

구분 도구 인터페이스 유형 주요 사용 방법
🟢 AWS Management Console 그래픽 인터페이스 (GUI) 웹 브라우저 시각적 조작, 초보자 친화적
🔵 AWS CLI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줄 인터페이스 (CLI) 터미널/명령 프롬프트 스크립트 자동화, 빠른 대량 처리 가능
🟣 AWS SDKs (Software Development Kits)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Python, Java, Node.js 등 코드 내 통합 개발자용, 애플리케이션 통합 목적
🟠 AWS Copilot CLI 기반 도구 ECS/Fargate 앱 배포용 개발자용, CI/CD 파이프라인 통합 중심

💡 예시

도구 사용 예시
Management Console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려고 콘솔에서 “Launch instance” 클릭
AWS CLI aws ec2 describe-instances 명령어로 인스턴스 목록 조회
AWS SDK Python boto3 코드로 S3 버킷 자동 생성
AWS Copilot CLI로 컨테이너 앱을 Fargate에 배포 (copilot app init)

✅ 정답 요약

AWS 서비스를 그래픽(GUI) 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AWS Management Console을 사용해야 합니다.


✅ 이 문제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유형 구분 — 특히 RDS / Redshift / DynamoDB / Aurora의 차이를 묻는 기본 핵심 문제입니다.
(CL, SAA, DVA 시험에서 모두 자주 출제됩니다.)

📘 Q662

Which AWS service is a fully managed NoSQL database service?

어떤 AWS 서비스가 완전 관리형(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까?


✅ 정답: C. Amazon DynamoDB


🧠 해설

Amazon DynamoDB는 AWS의 대표적인 완전관리형(fully managed)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Key-Value 및 Document 기반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즉, 서버 관리, 확장, 백업, 장애 복구를 AWS가 모두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모델링과 쿼리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 DynamoDB 주요 특징 요약

항목 설명
💡 데이터 모델 Key-Value & Document (JSON 구조 지원)
⚙️ 서버 관리 완전 관리형 (사용자는 인스턴스 관리 불필요)
성능 밀리초 수준의 지연시간, 초당 수백만 요청 처리 가능
🚀 확장성 Auto Scaling 기반 수평 확장 (seamless scaling)
🔒 보안 IAM 통합, KMS 암호화, VPC 엔드포인트 지원
🧭 사용 예시 게임 리더보드, IoT 센서 데이터, 세션 관리, 쇼핑카트 등
🔁 추가 기능 DynamoDB Streams, Global Tables, On-Demand Backup

🧩 비교: AWS 주요 DB 서비스 간 차이

서비스 유형 주요 용도 관리 수준 데이터 구조
Amazon RDS Relational (SQL) MySQL, PostgreSQL 등 관리형, 인스턴스 기반 테이블/SQL
Amazon Aurora Relational (SQL) RDS보다 성능 향상형 완전관리형 (Aurora Serverless 지원) 테이블/SQL
Amazon DynamoDB NoSQL Key-Value / Document 기반 완전관리형 (서버리스) JSON-like
Amazon Redshift Data Warehouse 분석용 (OLAP) 관리형 Column-based

💡 정답 포인트 암기법

🔸 SQL → RDS, Aurora
🔸 NoSQL → DynamoDB
🔸 분석용(DWH) → Redshift


✅ 정답 요약

완전관리형(fully managed) NoSQL DB 서비스 =
Amazon DynamoDB


✅ 이 문제는 EC2 인스턴스 구매 옵션(Purchasing Options) 의 특징을 이해하는 문제입니다.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C02)와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SAA-C03)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핵심 유형이에요.

📘 Q684

A company needs to run an application on Amazon EC2 instances without interruption.
Which EC2 instance purchasing option will meet this requirement MOST cost-effectively?

회사는 중단 없이(Without interruption)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합니다.
어떤 EC2 구매 옵션이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이 요구사항을 충족할까요?


✅ 정답: A. Standard Reserved Instances


🧠 해설

**Standard Reserved Instances (RI)**는
1년 또는 3년 동안 지속적인 사용(steady-state usage) 을 약정함으로써
On-Demand 대비 최대 72%까지 절감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옵션입니다.

이 문제에서 핵심 키워드는 👇

"without interruption" (= 항상 실행되어야 함)
→ 즉, 중단이 없어야 하는 상시 워크로드
→ 따라서 Reserved Instance (RI) 가 정답입니다.


⚙️ EC2 인스턴스 구매 옵션 비교표

구매 옵션 설명 비용 절감률 (대비) 중단 가능성 주요 사용 사례
On-Demand 사용한 만큼 지불 (Pay-as-you-go) 기준 (0%) ❌ 없음 예측 불가능한 워크로드
Standard Reserved Instances 1년/3년 약정, 고정된 유형 ✅ 최대 72% 절감 ❌ 없음 항상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Convertible Reserved Instances RI 변경 가능 (인스턴스 타입 변경 허용) ✅ 최대 66% 절감 ❌ 없음 장기적이지만 워크로드 변경 가능성 있을 때
Spot Instances 미사용 EC2 용량 입찰 방식 💰 최대 90% 절감 ⚠️ 중단 가능 비중요 백그라운드 작업, Batch, AI 트레이닝

💡 정답 포인트 요약

조건 해당 옵션
항상 실행(중단 없음) Reserved Instance
💰 비용 절감 최대화 Standard RI
🔁 변경 유연성 필요 Convertible RI
단기/불규칙적 워크로드 On-Demand
🧪 테스트/일시적 작업 Spot Instance

✅ 정답 요약

중단 없이 항상 실행되어야 하고
가장 비용 효율적인 옵션은
Standard Reserved Instance 입니다.


 

반응형
2025-10-22 21:47:07
반응형
✅ 이 문제는 온프레미스의 MariaDB 데이터베이스를 AWS로 이전할 때,
운영 오버헤드(Operational Overhead) 가 가장 적은 서비스를 묻고 있습니다.

📘 Q503.

A company has a MariaDB database on premises.
The company wants to move the data to the AWS Cloud.
Which AWS service will host this database with the LEAST amount of operational overhead?

회사는 온프레미스 MariaDB를 AWS로 이전하려고 합니다.
이 데이터베이스를 가장 적은 운영 부담으로 호스팅할 수 있는 AWS 서비스는 무엇입니까?


✅ 정답: A. Amazon RDS


💡 해설

🔹 Amazon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Amazon RDS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데이터베이스의 프로비저닝, 패치, 백업, 복제, 장애 조치 등을 자동화하여
운영자의 부담을 최소화합니다.


✅ 주요 특징

항목 설명
🧩 지원 엔진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Aurora
⚙️ 관리 자동화 OS/DB 패치, 백업, 스냅샷, 장애 조치(Auto Failover) 자동 수행
💾 고가용성 구성 Multi-AZ 배포로 장애 시 자동 장애조치(Failover)
🔄 확장성 수직(인스턴스 크기) + 수평(읽기 전용 복제본) 확장
💡 통합 서비스 CloudWatch, IAM, KMS, Secrets Manager와 통합
🕒 운영 오버헤드 매우 낮음 (Fully Managed)

⚙️ 아키텍처 예시

 
  • 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 (DMS) 를 사용하여
    온프레미스 DB → RDS로 마이그레이션 가능
  • 이후 자동 백업 + 모니터링 + 장애조치 지원으로 관리 부담 최소화

❌ 오답 해설

보기 설명 오답 이유
B. Amazon Neptune 그래프 DB 서비스 (소셜 그래프, 관계형 노드 분석 등) ❌ 관계형 DB 아님
C. Amazon S3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로 사용 불가
D. Amazon DynamoDB NoSQL 키-값 DB 서비스 ❌ 관계형 SQL DB가 아님

💬 정리 요약

항목 선택 이유
MariaDB 호환 RDS는 MariaDB 엔진을 완벽히 지원
운영 자동화 백업, 패치, 모니터링 자동화
관리 부담 최소화 DBA 개입 최소화 (Managed Service)

📗 한 줄 요약

☁️ Amazon RDS for MariaDB자동 백업, 모니터링, 패치, 장애조치를 지원하는
완전관리형(fully managed)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운영 오버헤드가 가장 적은 AWS 선택지입니다.


📘 Q527.

Which statements accurately describe the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AWS global infrastructure? (Choose two)

AWS 글로벌 인프라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정확히 설명한 것은 무엇입니까?
(2개 선택)


✅ 정답: B, E


💡 해설

AWS 글로벌 인프라(Global Infrastructure)는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로 구성됩니다.

🌍 AWS Global Infrastructure
├── 🌎 Region (리전)
│   ├── 🏢 Availability Zone (가용 영역)
│   └── 🗄️ Local Zone (로컬 영역)
└── 🌐 Edge Location (엣지 로케이션)

B. There are more edge locations than AWS Regions.

✔️ 정답

  • AWS의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CloudFront, Route 53, Global Accelerator 등의
    콘텐츠 전송 및 네트워크 최적화용 인프라입니다.
  • 엣지 로케이션은 전 세계 수백 개 이상 존재하며,
    리전(Region) 은 상대적으로 수십 개 수준입니다.
    → 예: 2025년 기준
    • 33개 리전
    • 100개 이상 AZ
    • 600개 이상 엣지 로케이션

E. There are more Availability Zones than AWS Regions.

✔️ 정답

  • Region2개 이상의 Availability Zone (AZ) 으로 구성됩니다.
  • 따라서 가용 영역(AZ) 의 개수가 리전보다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예시 📍

RegionAZ 개수
ap-northeast-2 (서울) 4개
us-east-1 (버지니아) 6개
ap-southeast-1 (싱가포르) 3개

즉, AZ > Region


❌ 오답 해설

보기 설명 오답 이유
A. There are more AWS Regions than Availability Zones. 리전은 AZ보다 적음 ❌ 반대 관계
C. An edge location is an Availability Zone. 엣지 로케이션은 CDN용 ❌ 서로 다른 개념
D. There are more AWS Regions than edge locations. 엣지 로케이션은 전 세계 수백 개 ❌ 반대 관계

🗺️ 시각적 정리

 

✅ 정답 요약

정답 이유
B. There are more edge locations than AWS Regions. 엣지 로케이션은 리전보다 훨씬 많음
E. There are more Availability Zones than AWS Regions. 한 리전에 AZ가 여러 개 존재

📗 한 줄 요약

🌎 Region < Availability Zone < Edge Location (in quantity)
즉, 엣지 로케이션이 가장 많고, 그다음은 AZ, 마지막은 Region입니다.


✅ 이 문제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인바운드 트래픽을 필터링 및 제어해야 할 때
어떤 AWS 보안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 Q546.

A company is hosting a web application on Amazon EC2 instances.
The company wants to implement custom conditions to filter and control inbound web traffic.

회사가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고 있으며,
인바운드 웹 트래픽을 사용자 지정 조건(Custom Conditions) 으로 필터링 및 제어하고자 합니다.


✅ 정답: B. AWS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 해설

🔹 AWS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AWS WAF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한 방화벽 서비스로,
HTTP/HTTPS 트래픽을 사용자 정의 조건(Custom Rules) 으로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기능

기능 설명
⚙️ 트래픽 필터링 IP, 쿼리 문자열, URI, HTTP 헤더 등 조건 기반 필터링
🧩 규칙 기반 보안 SQL Injection, XSS, 악성 요청 등을 자동 차단
🔄 통합 서비스 ALB, CloudFront, API Gateway, App Runner와 통합 가능
📊 모니터링 CloudWatch를 통한 트래픽 로깅 및 분석
💡 Custom Rule 가능 특정 국가, IP, 경로 기반 허용/차단 조건 정의 가능

⚙️ 아키텍처 예시

 
  • WAF는 ALB 앞단 또는 CloudFront 앞단에서 동작하며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기 전 트래픽을 필터링합니다.

❌ 오답 해설

보기 설명 오답 이유
A. Amazon GuardDuty 위협 탐지 서비스 (비정상 API 활동 탐지) ❌ 트래픽 필터링 기능 없음
C. Amazon Macie S3 내 민감한 데이터 자동 식별 서비스 ❌ 웹 트래픽 제어와 무관
D. AWS Shield DDoS 공격 방어 서비스 ❌ WAF처럼 세밀한 사용자 지정 조건 불가 (Layer 3/4 중심)

🧠 비교 정리

서비스 주요 목적 트래픽 제어 가능 여부
WAF 웹 트래픽 필터링 및 룰 기반 제어
Shield DDoS 보호 ⚠️ (제한적)
GuardDuty 비정상 활동 탐지
Macie 데이터 보안(민감정보 탐지)

📗 한 줄 요약

🌐 AWS WAFHTTP/HTTPS 요청에 대해 커스텀 룰을 적용
SQL Injection, XSS, IP 필터링 등 인바운드 웹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화벽 서비스입니다.


✅ 이 문제는 AWS Support Plan 중에서 API 호출을 통한 AWS Support 연동이 가능한 최소 비용 플랜을 묻는 문제입니다.

📘 Q567.

A new AWS user needs to interact with AWS Support by using API calls.
Which AWS Support plan will meet this requirement MOST cost-effectively?

새로운 AWS 사용자가 API 호출을 사용하여 AWS Support와 상호 작용하려 합니다.
어떤 Support Plan이 이 요구사항을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충족할까요?


✅ 정답: B. AWS Developer Support


💡 해설

🔹 AWS Support Plan 개요

Support Plan 요약 AWS Support API 접근 가능 여부 가격
Basic Support 기본 지원 (Billing, Documentation, Forums) ❌ 불가능 무료
Developer Support 개발자용 기술 지원, API 연동 가능 ✅ 가능 $29/월부터
Business Support 프로덕션 워크로드 지원, 24x7 전화/채팅 지원 ✅ 가능 $100/월부터
Enterprise Support 대규모 기업용, TAM 배정 ✅ 가능 $15,000/월부터

Developer Support가 정답인 이유

  • AWS Support APIDeveloper, Business, Enterprise 플랜에서만 사용 가능
  • Basic Plan은 API 연동 불가능
  • 따라서 가장 저렴하면서도 API 호출이 가능한 옵션은
    Developer Support Plan입니다.

✅ Developer Support 주요 특징

항목 설명
💬 기술 지원 채널 이메일 기반 기술 지원 (Business/Enterprise만 전화/채팅 포함)
🕒 응답 시간 (Response Time) 일반 기술 문의 24시간 이내
🔧 AWS Support API AWS Support Center의 Case, Severity, Status 등 API로 관리 가능
🧠 Best Practice 가이드 AWS 서비스 구성 관련 모범 사례 제공
🧰 Trusted Advisor 기본 7개 핵심 항목 검사 가능 (비용 최적화, 보안 등)

❌ 오답 해설

보기 설명 오답 이유
A. AWS Basic Support 문서, 포럼, Billing 문의만 가능 ❌ Support API 미지원
C. AWS Business Support 프로덕션 환경용, 전화/채팅 가능 ✅ 되지만 비용 비효율적
D. AWS Enterprise Support 대기업 전용, TAM 포함 ✅ 되지만 가장 비쌈

🔧 참고: Support API 사용 예시

AWS Support API를 사용하면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지원 케이스를 조회/생성 가능:

 
aws support describe-cases --language en

이 기능은 Developer Support 이상 플랜이 필요합니다.


📗 한 줄 요약

💡 AWS Support API를 사용하려면 최소 Developer Support 플랜이 필요하며,
이 플랜이 가장 저렴하게(API 연동 포함) 요구사항을 충족합니다.


✅ 이 문제는 AWS CloudTrail의 핵심 개념을 묻는 전형적인 문제입니다.

📘 Q586

A company needs an event history of which AWS resources the company has created.
Which AWS service will provide this information?

회사는 회사에서 만든 AWS 리소스에 대한 이벤트 내역이 필요합니다.
어떤 AWS 서비스가 이 정보를 제공합니까?


✅ 정답: B. AWS CloudTrail


🧠 해설:

AWS CloudTrail은 AWS 계정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API 호출 및 이벤트 활동을 기록하는 서비스입니다.

즉, 누가 언제 어떤 리소스를 만들었고 (예: EC2, S3, IAM 등)
어떤 작업(예: Create, Delete, Modify)을 수행했는지 이벤트 히스토리(Event History) 형태로 제공합니다.


🔍 CloudTrail의 주요 기능:

기능 설명
🗂 이벤트 기록 (Event History) AWS 리소스 생성, 수정, 삭제 등의 API 호출 기록 제공
🔐 보안 감사(Audit) 및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누가 어떤 행동을 했는지 추적 가능 — 내부 감사 및 규제 준수에 활용
📜 로그 저장 CloudTrail 로그를 Amazon S3에 저장하거나 CloudWatch Logs로 전송 가능
🕵️ AWS Management Console, CLI, SDK 호출 모두 기록 웹 콘솔이든 API든 관계없이 모든 호출이 추적됨

❌ 오답 분석:

보기 서비스 설명
A. Amazon CloudWatch 모니터링 서비스 성능 지표(메트릭), 로그, 알람 등을 모니터링하지만 리소스 생성 내역은 기록하지 않음
C. Amazon Aurora RDS 기반 DB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관리용, 이벤트 히스토리와 무관
D. Amazon EventBridge 이벤트 버스 서비스 실시간 이벤트 통합 및 자동화 트리거용. 이력 저장 서비스가 아님

🧩 요약 비교

항목 CloudTrail CloudWatch EventBridge
기록 목적 이벤트 및 API 활동 기록 지표와 로그 모니터링 이벤트 기반 자동화 트리거
주 데이터 유형 API 호출 로그 메트릭 & 로그 이벤트 스트림
사용 예시 누가 EC2를 삭제했는가? CPU 사용률 90% 이상 경고 S3에 파일 업로드 시 Lambda 실행

✅ 정답 요약

AWS 리소스 생성/삭제/수정 등 이벤트 이력(Event History) 을 추적하려면
AWS CloudTrail을 사용합니다.


 

반응형
2025-10-22 21:45:16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