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는 AWS Config의 대표적인 사용 목적(컴플라이언스 및 구성 변경 추적)을 정확히 묻고 있습니다.
📘 Q612
A company has a compliance requirement to record and evaluate configuration changes,
as well as perform remediation actions on AWS resources.
Which AWS service should the company use?
한 회사에서는 구성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평가하며,
AWS 리소스에 대한 수정 조치를 수행해야 하는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어떤 AW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합니까?
✅ 정답: A. AWS Config
🧠 해설:
AWS Config는 AWS 리소스의 구성 변경 사항(Configuration Changes) 을 추적하고
컴플라이언스(규정 준수) 상태를 자동으로 평가하며,
필요 시 자동 복구(Remediation) 도 수행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즉, “누가 어떤 리소스를 만들었는가?”가 아니라
“리소스의 설정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추적하는 서비스입니다.
⚙️ 주요 기능 요약
| 기능 |
설명 |
| 🔍 구성 변경 기록 (Configuration Recording) |
EC2, S3, IAM 등 AWS 리소스의 속성 변경을 자동 기록 |
| 🧾 규정 준수 평가 (Compliance Evaluation) |
미리 정의된 규칙(예: 암호화 미적용, 퍼블릭 S3 등)에 따라 리소스 상태를 평가 |
| 🔁 자동 수정 (Remediation) |
비규정 상태(non-compliant) 리소스를 자동으로 수정 (예: Lambda 트리거) |
| 📜 구성 이력(Configuration History) & 스냅샷(Snapshot) |
시간에 따른 리소스 변경 내역을 S3에 저장 가능 |
| 📈 AWS Config Rules + Aggregator |
여러 계정/리전의 컴플라이언스 현황을 중앙집중식으로 관리 가능 |
🧩 유사 서비스 비교
| 서비스 |
주요 목적 |
차이점 |
| AWS Config |
리소스 구성 변경 추적 및 규정 준수 평가 |
“리소스의 상태 변화” 를 감시 |
| AWS CloudTrail |
API 호출 및 사용자 활동 추적 |
“누가 언제 어떤 행동을 했는가” 를 기록 |
| AWS Trusted Advisor |
비용/보안/성능 모범 사례 점검 |
실시간 “조언” 제공, 자동 추적 기능은 제한적 |
| AWS Security Hub |
보안 상태 종합 대시보드 |
AWS Config와 통합하여 보안 규정 준수 평가 강화 가능 |
🔒 예시 시나리오
| 상황 |
해결 방법 |
| S3 버킷이 퍼블릭 액세스로 변경됨 |
AWS Config가 변경 탐지 후 경고 및 Lambda 트리거로 자동 수정 |
| EC2 인스턴스에서 암호화되지 않은 EBS 사용 |
AWS Config Rule에서 비규정 상태로 감지하고 경고 |
✅ 정답 요약
구성 변경 추적, 규정 준수 평가, 자동 수정(remediation)이 필요한 경우
AWS Config를 사용해야 합니다.
✅ 이 문제는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의 5가지 기둥(pillars) 중에서 어떤 항목이 해당되는지를 묻는 전형적인 CLF-C02 / SAA-C03 공통 문제입니다.
📘 Q619
A company is designing workloads in the AWS Cloud.
The company wants the workloads to perform their intended function correctly and consistently throughout their lifecycle.
회사는 AWS 클라우드에서 워크로드를 설계하고 있으며,
워크로드가 수명 주기 내내 의도된 기능을 올바르고 일관되게 수행하기를 원합니다.
➡ Which pillar of the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does this goal represent?
✅ 정답: C. Reliability (안정성)
🧠 해설:
**Reliability Pillar (안정성 기둥)**은
워크로드가 의도된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복구(resilience)와 일관성(consistency) 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즉, “시스템이 끊김 없이 신뢰성 있게 작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Reliability Pillar 주요 구성 요소
| 구성 |
요소설명 |
| 🏗️ Foundations (기반) |
충분한 리소스 할당, IAM 권한 및 네트워크 설계 포함 |
| 🔁 Workload Architecture (워크로드 아키텍처) |
고가용성(HA)과 장애 허용성(Fault Tolerance)을 보장하는 설계 |
| 🔄 Change Management (변경 관리) |
시스템 변경 시에도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적용 |
| 🧱 Failure Recovery (장애 복구) |
장애 시 자동 복구(Auto Recovery) 또는 리전/존 단위 복원력 확보 |
🧩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5대 기둥 요약
| Pillar 핵심 |
목적 |
키워드 |
| 1️⃣ Operational Excellence (운영 우수성) |
운영 프로세스 자동화, 모니터링, 개선 |
DevOps, 자동화, 관찰성 |
| 2️⃣ Security (보안) |
데이터 보호, IAM, 인프라 보안 강화 |
암호화, 최소 권한, 로깅 |
| 3️⃣ Reliability (안정성) |
장애 복구, 일관된 성능 유지 |
복원력, 장애 허용, 백업 |
| 4️⃣ Performance Efficiency (성능 효율성) |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 사용 |
오토 스케일링, 적합한 리소스 크기 |
| 5️⃣ Cost Optimization (비용 최적화) |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면서 비용 최소화 |
리저브드 인스턴스, 사용량 기반 비용 관리 |
❌ 오답 분석
| 보기 |
설명 |
오답 이유 |
| A. Operational Excellence |
운영 프로세스 개선, 코드 배포, 자동화 관련 |
워크로드 안정성과 직접적 연관 없음 |
| B. Security |
데이터와 시스템 보호 중심 |
“정확한 기능 수행”이 아니라 “보안 위험 관리”가 초점 |
| D. Performance Efficiency |
리소스 효율성 중심 |
성능 최적화와 관계 있지만, "일관성 있는 기능 수행"은 안정성 영역 |
✅ 정답 요약
워크로드가 의도된 기능을 올바르고 일관되게 수행하도록 설계하려면
Reliability (안정성) 기둥이 핵심입니다.
✅ 이 문제는 AWS 서비스 관리 도구 중 인터페이스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를 묻는 기본형 문제입니다.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 CLF-C02 단골문제입니다.)
📘 Q633
Which AWS service or tool provides users with a graphical interface that they can use to manage AWS services?
어떤 AWS 서비스 또는 도구가 사용자가 AWS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합니까?
✅ 정답: C. AWS Management Console
🧠 해설
AWS Management Console은 웹 기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로,
AWS의 모든 주요 서비스(EC2, S3, IAM, RDS 등)를 시각적으로 탐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즉, AWS 서비스를 명령어 없이 마우스로 클릭해 조작할 수 있는 콘솔 환경입니다.
🖥️ AWS 서비스 관리 방식 비교표
| 구분 |
도구 |
인터페이스 유형 |
주요 사용 방법 |
| 🟢 AWS Management Console |
그래픽 인터페이스 (GUI) |
웹 브라우저 |
시각적 조작, 초보자 친화적 |
| 🔵 AWS CLI (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줄 인터페이스 (CLI) |
터미널/명령 프롬프트 |
스크립트 자동화, 빠른 대량 처리 가능 |
| 🟣 AWS SDKs (Software Development Kits) |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
Python, Java, Node.js 등 코드 내 통합 |
개발자용, 애플리케이션 통합 목적 |
| 🟠 AWS Copilot |
CLI 기반 도구 |
ECS/Fargate 앱 배포용 |
개발자용, CI/CD 파이프라인 통합 중심 |
💡 예시
| 도구 |
사용 예시 |
| Management Console |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려고 콘솔에서 “Launch instance” 클릭 |
| AWS CLI |
aws ec2 describe-instances 명령어로 인스턴스 목록 조회 |
| AWS SDK |
Python boto3 코드로 S3 버킷 자동 생성 |
| AWS Copilot |
CLI로 컨테이너 앱을 Fargate에 배포 (copilot app init) |
✅ 정답 요약
AWS 서비스를 그래픽(GUI) 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AWS Management Console을 사용해야 합니다.
✅ 이 문제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유형 구분 — 특히 RDS / Redshift / DynamoDB / Aurora의 차이를 묻는 기본 핵심 문제입니다.
(CL, SAA, DVA 시험에서 모두 자주 출제됩니다.)
📘 Q662
Which AWS service is a fully managed NoSQL database service?
어떤 AWS 서비스가 완전 관리형(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까?
✅ 정답: C. Amazon DynamoDB
🧠 해설
Amazon DynamoDB는 AWS의 대표적인 완전관리형(fully managed)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Key-Value 및 Document 기반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즉, 서버 관리, 확장, 백업, 장애 복구를 AWS가 모두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모델링과 쿼리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 DynamoDB 주요 특징 요약
| 항목 |
설명 |
| 💡 데이터 모델 |
Key-Value & Document (JSON 구조 지원) |
| ⚙️ 서버 관리 |
완전 관리형 (사용자는 인스턴스 관리 불필요) |
| ⚡ 성능 |
밀리초 수준의 지연시간, 초당 수백만 요청 처리 가능 |
| 🚀 확장성 |
Auto Scaling 기반 수평 확장 (seamless scaling) |
| 🔒 보안 |
IAM 통합, KMS 암호화, VPC 엔드포인트 지원 |
| 🧭 사용 예시 |
게임 리더보드, IoT 센서 데이터, 세션 관리, 쇼핑카트 등 |
| 🔁 추가 기능 |
DynamoDB Streams, Global Tables, On-Demand Backup |
🧩 비교: AWS 주요 DB 서비스 간 차이
| 서비스 |
유형 |
주요 용도 |
관리 수준 |
데이터 구조 |
| Amazon RDS |
Relational (SQL) |
MySQL, PostgreSQL 등 |
관리형, 인스턴스 기반 |
테이블/SQL |
| Amazon Aurora |
Relational (SQL) |
RDS보다 성능 향상형 |
완전관리형 (Aurora Serverless 지원) |
테이블/SQL |
| Amazon DynamoDB |
NoSQL |
Key-Value / Document 기반 |
완전관리형 (서버리스) |
JSON-like |
| Amazon Redshift |
Data Warehouse |
분석용 (OLAP) |
관리형 |
Column-based |
💡 정답 포인트 암기법
🔸 SQL → RDS, Aurora
🔸 NoSQL → DynamoDB
🔸 분석용(DWH) → Redshift
✅ 정답 요약
완전관리형(fully managed) NoSQL DB 서비스 =
Amazon DynamoDB
✅ 이 문제는 EC2 인스턴스 구매 옵션(Purchasing Options) 의 특징을 이해하는 문제입니다.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C02)와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SAA-C03)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핵심 유형이에요.
📘 Q684
A company needs to run an application on Amazon EC2 instances without interruption.
Which EC2 instance purchasing option will meet this requirement MOST cost-effectively?
회사는 중단 없이(Without interruption)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합니다.
어떤 EC2 구매 옵션이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이 요구사항을 충족할까요?
✅ 정답: A. Standard Reserved Instances
🧠 해설
**Standard Reserved Instances (RI)**는
1년 또는 3년 동안 지속적인 사용(steady-state usage) 을 약정함으로써
On-Demand 대비 최대 72%까지 절감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옵션입니다.
이 문제에서 핵심 키워드는 👇
"without interruption" (= 항상 실행되어야 함)
→ 즉, 중단이 없어야 하는 상시 워크로드
→ 따라서 Reserved Instance (RI) 가 정답입니다.
⚙️ EC2 인스턴스 구매 옵션 비교표
| 구매 옵션 |
설명 |
비용 절감률 (대비) |
중단 가능성 |
주요 사용 사례 |
| On-Demand |
사용한 만큼 지불 (Pay-as-you-go) |
기준 (0%) |
❌ 없음 |
예측 불가능한 워크로드 |
| Standard Reserved Instances |
1년/3년 약정, 고정된 유형 |
✅ 최대 72% 절감 |
❌ 없음 |
항상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
| Convertible Reserved Instances |
RI 변경 가능 (인스턴스 타입 변경 허용) |
✅ 최대 66% 절감 |
❌ 없음 |
장기적이지만 워크로드 변경 가능성 있을 때 |
| Spot Instances |
미사용 EC2 용량 입찰 방식 |
💰 최대 90% 절감 |
⚠️ 중단 가능 |
비중요 백그라운드 작업, Batch, AI 트레이닝 |
💡 정답 포인트 요약
| 조건 |
해당 옵션 |
| ❗ 항상 실행(중단 없음) |
Reserved Instance |
| 💰 비용 절감 최대화 |
Standard RI |
| 🔁 변경 유연성 필요 |
Convertible RI |
| ⚡ 단기/불규칙적 워크로드 |
On-Demand |
| 🧪 테스트/일시적 작업 |
Spot Instance |
✅ 정답 요약
중단 없이 항상 실행되어야 하고
가장 비용 효율적인 옵션은
Standard Reserved Instanc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