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4)
2021-12-26 23:41:20
반응형

6063. 입력된 두 정수(a, b) 중 큰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단, 3항 연산을 사용한다.

예시
a, b = input().split()
a = int(a)  #변수 a에 저장되어있는 값을 정수로 바꾸어 다시 변수 a에 저장
b = int(b)
c = (a if (a>=b) else b)
print(int(c))

참고
3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3항 연산은
"x if C else y" 의 형태로 작성이 된다.
- C : True 또는 False 를 평가할 조건식(conditional expression) 또는 값
- x : C의 평가 결과가 True 일 때 사용할 값
- y : C의 평가 결과가 True 가 아닐 때 사용할 값

조건식 또는 값이 True 이면 x 값이 사용되고, True가 아니면 y 값이 사용되도록 하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0 if 123>456 else 1
과 같은 표현식의 평가값은 123 > 456 의 비교연산 결과가 False 이므로 1이 된다.

예시 코드에서
a>=b 의 결과가 True(참) 이면 (a if (a>=b) else b)의 결과는 a가 되고,
a>=b 의 결과가 False(거짓)이면 (a if (a>=b) else b)의 결과는 b가 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nd a or b)

 

6064. 입력된 세 정수 a, b, c 중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단, 3항 연산을 사용한다.

참고
프로그래밍언어 소스코드 작성시 모든 요소들은
"순서에 따라 한 단계씩 실행"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하나씩 연산 수행"
"그 때까지 연산된 결과를 이용해 다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연산"
...
등의 원리가 적용된다.

따라서 3항 연산을 중첩해(괄호로 묶는 등..) 이용하면 여러 값들을 순서대로 비교해 가장 큰/작은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if a>b else b) if ((a if a>b else b)>c) else c
와 같은 계산식은 a, b, c 의 값 중 가장 큰 값으로 계산된다.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어떤 순서에 따라 계산될 지 생각해보고
여러 가지 연산자가 동시에 사용된 식이 있을 때, 어떤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계산이 되는지 찾아보도록 한다.
“연산자 우선순위”를 검색하면 우선순위와 결합방향이 나온다.
예를 들어 변수에 어떤 값을 대입하는 대입(assign) 연산자 = 의 우선순위는 가장 낮고, 오른쪽에서 왼쪽의 결합방향을 가진다.

** 3항 연산은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복잡한 계산식이나 조건 처리, 비교 구조를 간단히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a, b, c  = map(int, input().split())
d = a < b and a or b
print(d < c and d or c)
a, b, c  = map(int, input().split())
num = a if a < b else b
print( num if num < c  else c)

 

반응형
2021-12-26 23:32:27
반응형

6059. 입력 된 정수를 비트단위로 참/거짓을 바꾼 후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연산자 ~ 를 붙이면 된다.(~ : tilde, 틸드라고 읽는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1이 입력되었을 때 저장되는 1을 32비트 2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고,
~1은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가 되는데 이는 -2를 의미한다.

예시
a = 1
print(~a) #-2가 출력된다.

참고
컴퓨터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된다.
0과 1로만 구성되는 비트단위들로 변환되어 저장되는데,
양의 정수는 2진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되고, 음의 정수는 "2의 보수 표현"방법으로 저장된다.

양의 정수 5를 32비트로 저장하면, 

5의 2진수 형태인 101이 32비트로 만들어져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로 저장된다.(공백은 보기 편하도록 임의로 분리)

32비트 형의 정수 0은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그리고 -1은 0에서 1을 더 빼고 32비트만 표시하는 형태로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로 저장된다.

-2는 -1에서 1을 더 빼면 된다.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로 저장된다.

이러한 내용을 간단히 표현하면, 정수 n이라고 할 때,

~n = -n - 1
-n = ~n + 1 과 같은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관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마치 원형으로 수들이 상대적으로 배치된 것과 같다.

a = ~int(input())
print(a)

 

6060.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and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연산자 &를 사용하면 된다.(and, ampersand, 앰퍼센드라고 읽는다.)

** 비트단위(bitwise)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 된다.

비트단위 and 연산은 두 비트열이 주어졌을 때,
둘 다 1인 부분의 자리만 1로 만들어주는 것과 같다.

이 연산을 이용하면 어떤 비트열의 특정 부분만 모두 0으로도 만들 수 있는데
192.168.0.31   : 11000000.10101000.00000000.00011111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두 개의 ip 주소를 & 연산하면
192.168.0.0 :     110000000.10101000.0000000.00000000 을 계산할 수 있다.

실제로 이 계산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비트단위 연산은 빠른 계산이 필요한 그래픽처리에서
마스크연산(특정 부분을 가리고 출력하는)을 수행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6061.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or, vertical bar, 버티컬바)를 사용하면 된다.

** | 은 파이프(pipe)연산자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11
이 된다.

비트단위 or 연산은 둘 중 하나라도 1인 자리를 1로 만들어주는 것과 같다.

이러한 비트단위 연산은 빠른 계산이 필요한 그래픽처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6062. 입력된 정수 두 개를 비트단위로 xor 연산한 후 그 결과를 정수로 출력해보자.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 ^(xor, circumflex/caret, 서컴플렉스/카릿)를 사용하면 된다.

** 주의 ^은 수학식에서 거듭제곱(power)을 나타내는 기호와 모양은 같지만,
C언어에서는 전혀 다른 배타적 논리합(xor, 서로 다를 때 1)의 의미를 가진다.

** 비트단위(bitwise) 연산자는,
~(bitwise not), &(bitwise and), |(bitwise or), ^(bitwise xor),
<<(bitwise left shift), >>(bitwise right shift)
가 있다.

예를 들어 3과 5가 입력되었을 때를 살펴보면
3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11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3 ^ 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10
이 된다.
이러한 비트단위 연산은 빠른 계산이 필요한 그래픽처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두 장의 이미지가 겹쳐졌을 때 색이 서로 다른 부분만 처리할 수 있다.
배경이 되는 그림과 배경 위에서 움직이는 그림이 있을 때,
두 그림에서 차이만 골라내 배경 위에서 움직이는 그림의 색으로 바꿔주면
전체 그림을 구성하는 모든 점들의 색을 다시 계산해 입히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그림을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행기 슈팅게임 등을 상상해보면 된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 a ^ b )
반응형
2021-12-26 22:43:10
반응형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or bool(int(b)))

6052. 정수가 입력되었을 때, True/False 로 평가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n = int(input())
print(bool(n))

참고
bool( ) 을 이용하면 입력된 식이나 값을 평가해 불 형의 값(True 또는 False)을 출력해준다.
식이나 값을 계산해서 결과값이 만들어지는 것을 평가(evaluate)라고 한다. 

python 언어에서 정수값 0은 False(거짓)로 평가되고, 그 외의 값들은 모두 True(참)로 평가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 int(input())
print(bool(a))

 

6053.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을 반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a = bool(int(input()))
print(not a)

참고
a = bool(int(input()))
와 같은 형태로 겹쳐 작성하면,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처리/평가된다.
위와 같은 명령문의 경우 input( ), int( ), bool( ) 순서로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처리/평가된다.

어떤 불 값이나 변수에 not True, not False, not a 와 같은 계산이 가능하다.

참 또는 거짓의 논리값을 역(반대)으로 바꾸기 위해서 not 예약어(reserved word, keywor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NOT 연산(boolean NOT)이라고도 부르고,
프라임 '(문자 오른쪽 위에 작은 따옴표), 바(기호 위에 가로 막대), 문자 오른쪽 위에 c(여집합, complement) 등으로 표시한다.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 거짓의 논리값 인 불(boolean)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 and, or 이 있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not, and, or)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 된다.

정수값 0은 False 이고, 나머지 정수 값들은 True 로 평가된다.
빈 문자열 "" 나 ''는 False 이고, 나머지 문자열들은 True 로 평가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 bool(int(input()))
print(not a)

 

6054.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이 모두 True 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and bool(int(b)))

참고
and 예약어는 주어진 두 불 값이 모두 True 일 때에만 True 로 계산하고, 나머지 경우는 False 로 계산한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AND 연산(boolean AND)이라고도 부르고, · 으로 표시하거나 생략하며, 집합 기호 ∩(교집합, intersection)로 표시하기도 한다.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 거짓의 논리값 인 불(boolean)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 and, or 이 있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not, and, or)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and bool(int(b)))

 

6055.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이 하나라도 True 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참고
or 예약어는 주어진 두 불 값 중에서 하나라도 True 이면 True 로 계산하고, 나머지 경우는 False 로 계산한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OR 연산(boolean OR)이라고도 부르고, + 로 표시하거나, 집합 기호 ∪(합집합, union)로 표시하기도 한다.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 거짓의 논리값 인 불(boolean)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 and, or 이 있고,
불 값들 사이의 논리(not, and, or)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or bool(int(b)))

 

6056.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True/False) 이 서로 다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
c = bool(int(a))
d = bool(int(b))
print((c and (not d)) or ((not c) and d))

참고
참 거짓이 서로 다를 때에만 True 로 계산하는 논리연산을 XOR(exclusive or, 배타적 논리합) 연산이라고도 부른다.

논리연산자는 사칙(+, -, *, /)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여러 번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사칙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계산 순서를 표시하기 위해 괄호 ( )를 사용할 수 있다.
괄호를 사용하면 계산 순서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수학 식에서는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소괄호 ( ) 만 사용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a, b = input().split()
a = bool(int(a))
b = bool(int(b))
print(a and (not b) or (not a) and b)

 

6057.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True/False) 이 서로 같을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a, b = input().split()
a = bool(int(a))
b = bool(int(b))
print(not(a) and not(b) or a and b)

 

6058. 2개의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True/False) 이 모두 False 일 때에만 Tru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a, b = input().split()
a = bool(int(a))
b = bool(int(b))
print((not a) and (not b))
반응형
2021-12-26 01:14:20
반응형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문제 설명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Kim"의 위치 x를 찾아, "김서방은 x에 있다"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seoul에 "Kim"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제한 사항

 

  •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seoul return
["Jane", "Kim"] "김서방은 1에 있다."

 

 Python 코드

 

def solution(seoul):
    return "김서방은 {}에 있다".format(seoul.index('Kim'))
def solution(seoul):
    for i in range(len(seoul)):
        if "Kim" == seoul[i]:
            a = i
            break
    answer = '김서방은 {}에 있다'.format(a)
    return answer
  • index()를 이용하여 리스트내 특정 값의 주소를 알 수 있다
  • format()을 이용하여 string내에 변수 값을 넣을 수 있다

* 참고 링크 : https://hodunamu.com/python-%EC%84%9C%EC%9A%B8%EC%97%90%EC%84%9C-%EA%B9%80%EC%84%9C%EB%B0%A9-%EC%B0%BE%EA%B8%B0/

def solution(seoul): 
	answer = '' 
    
    x = seoul.index('Kim') 
    answer = '김서방은 '+str(x)+'에 있다' 
    
    return answer

* 참고 링크 : https://wooaoe.tistory.com/69


* index ( ) :  리스트에 x 값이 있으면 x의 위치 값을 돌려준다.

 a = [1,2,3]
 
 a.index(3)
# result : 2

a.index(1)
# result : 0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4

* format ( ) : 문자열 함수

"{} {} {}".format(10, 20, 30)
# result : '10 20 30'
"{0}은 서울에 있다.".format("김서방")
# result : '김서방은 서울에 있다.'
"I eat {0} apples".format(3)
# result : 'I eat 3 apples'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3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vector<string> seoul) {
    string answer = "";
    answer += "김서방은 ";
    
    for(int i = 0; i < seoul.size(); i++){
        if(seoul[i] == "Kim"){
            answer += to_string(i);
        }
    }
    answer += "에 있다";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jjeongil.tistory.com/605

반응형
2021-12-26 01:12:54
반응형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문제 설명

 

단어 s의 가운데 글자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단어의 길이가 짝수라면 가운데 두글자를 반환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 s는 길이가 1 이상, 100이하인 스트링입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abcde" "c"
"qwer" "we"

 

 Python 코드

 

def solution(s):
    return s[(len(s)-1)//2 : len(s)//2+1]
  • 찍수인 경우 // 연산자로 몫을 구하고, 홀수일 경우에도 Slicing으로 계산
def solution(s):

    answer = ''

    if len(s) % 2 == 1:
        return s[int(len(s)/2)]
    else:
        return s[int(len(s)/2)-1 : int(len(s)/2)+1]

* 참고 링크 : https://jeongchul.tistory.com/642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def solution(s):
    # 글자의 길이
    s_length = len(s)
    # 글자의 길이가 홀수인 경우 가운데 글자를 뽑아내기
    if s_length % 2 == 1:
        answer = s[s_length // 2]
    # 글자의 길이가 짝수인 경우 가운데 두 글자를 뽑아내기
    if s_length % 2 == 0:
        answer = s[(s_length // 2) - 1:(s_length // 2) + 1]
    return answer

* 참고 링크 : https://greedysiru.tistory.com/381

  • 나머지 연산자 %
    어떤 정수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이면 홀수, 0이면 짝수.
def solution(s):
	if len(s) % 2 == 1:
    		return 가운데 값
#s의 길이를 2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 홀수면

"""
!POINT!
여기서 == 1은 쓰지 않아도 된다!
왜? 조건문에서는 '기냐 아니냐'를 보기 때문에, 
%를 2로 나눴기 때문에 0과 1의 값만 나오는 상황에서
숫자값 0은 False, 1은 True가 된다.
"""

#나머지가 1이 아니면 = 짝수면
	else:
		return 가운데 값에서 +1, -1 값

 

  • 나누기 연산자 //
def solution(s):
	if len(s) % 2 == 1:
		return s[len(s)//2]

#s의 리스트 s[]를 만들고 = 해당 인덱스의 '값'을 출력하기 위해
#len(s)//2한 인덱스의 값을 반환

	else:
		return 가운데 값에서 +_1 값
  • 최종 코드

 

def solution(s):
	if len(s) % 2 == 1:
		return s[len(s)//2]
	else:
		return s[(len(s)//2-1) : (len(s)//2+1)]

#짝수에서 출력하는 인덱스의 
#-1값 == len(s)//2-1)과 
#+1값 == (len(s)//2+1)을 함께 반환하자

* 참고 링크 : https://velog.io/@joy/%ED%8C%8C%EC%9D%B4%EC%8D%AC%EC%9C%BC%EB%A1%9C-%EA%B0%80%EC%9A%B4%EB%8D%B0-%EA%B8%80%EC%9E%90-%EA%B0%80%EC%A0%B8%EC%98%A4%EA%B8%B0

* 파이썬에수 함수를 쓰는 공식

def 함수명(인풋):
		코드1
		코드2 
		...
		return 아웃풋
        
#s라는 단어에 영향을 주는 solution라는 함수를 만들라고 했으니까

def solution(s):
    return 아웃풋

* 참고 링크 : https://velog.io/@joy/%ED%8C%8C%EC%9D%B4%EC%8D%AC%EC%9C%BC%EB%A1%9C-%EA%B0%80%EC%9A%B4%EB%8D%B0-%EA%B8%80%EC%9E%90-%EA%B0%80%EC%A0%B8%EC%98%A4%EA%B8%B0

 

* 산술 연산자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1153

 

* len() 함수 : 매개변수로 들어온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

- 내부에 있는 문자의 갯수 및 공백을 포함한 카운팅을 하여 반환해주는 함수

-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때 용이

strlen = "HelloWorld"
print(len(strlen))

# 결과값 10

 

* Slicing(슬라이싱) : 연속적인 객체들에 범위를 지정한 후 선택해서 객체들을 가져오는 방법

- 기본 형태

a[start : end : step]
  • start : 슬라이싱을 시작할 시작 위치
  • end : 슬라이싱을 끝낼 위치로 end는 포함되지 않음
  • step : stride(보폭)라고도 불리며, 몇 개씩 끊어서 가져올지와 방향을 정하는 옵션

- 인덱스 값들의 위치

a = ['a', 'b', 'c', 'd', 'e']

# Index References
# -------------------------------
# |  a  |  b  |  c  |  d  |  e  |
# -------------------------------
# |  0  |  1  |  2  |  3  |  4  |    // 양수의 경우
# -------------------------------
# | -5  | -4  | -3  | -2  | -1  |    // 음수의 경우
# -------------------------------

 

- 특정 시작위치부터 끝까지 가져오기

  • a[ start : ]
a = ['a', 'b', 'c', 'd', 'e']

a[ 1 : ]
# result : ['b', 'c', 'd', 'e']

a[ -3 : ]
# result : ['c', 'd', 'e']

 

- 시작점부터 특정 위치까지 가져오기

  • a[ : end ]
a = ['a', 'b', 'c', 'd', 'e']
a[ : 2 ]

# result : ['a', 'b']

 

- 특정 위치부터 특정 위치까지 모두 가져오기

  • a[ start : end ]
a = ['a', 'b', 'c', 'd', 'e']

a[ 2 : 4 ]
# result : ['c', 'd']


a[ -4 : -2 ]
# result : ['b', 'c']

* 참고 링크 : https://twpower.github.io/119-python-list-slicing-examples

 

 C++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static const size_t TWO = 2;
    const size_t length = s.length();
    
    if(length % TWO == 0)
    {
        //짝수
        answer += s[length / 2 - 1];
        answer += s[length / 2];
    }
    else
    {
        //홀수
        answer += s[length / 2];
    }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blockdmask.tistory.com/275

반응형
2021-12-26 01:11:21
반응형

두 정수 사이의 합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사항

 

  •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 b return
3 5 12
3 3 3
5 3 12

 

 Python 코드

 

def solution(a, b):
    if a > b : 
        a , b = b , a
    return sum(range(a, b+1))

 

def solution(a, b):

    answer = 0

    for i in range(min(a,b), max(a,b)+1):
    
        answer += i
        
    return answer

 

def solution(a, b):

    return ( abs(a - b) + 1)  * ( a + b ) // 2
  • 수학 공식 사용
  • 1부터 N까지의 총합은 N(N+1)/2 
  • a에서 b까지의 총합 ((a-b)+1) * (a+b) // 2

* 참고 링크 1 : https://jeongchul.tistory.com/645

* 참고 링크 2 : https://velog.io/@cosmos/Programmers%ED%94%84%EB%A1%9C%EA%B7%B8%EB%9E%98%EB%A8%B8%EC%8A%A4-%EB%91%90-%EC%A0%95%EC%88%98-%EC%82%AC%EC%9D%B4%EC%9D%98-%ED%95%A9-python

* abs ( ) 함수 : 어떤 숫자를 입력받았을 때, 그 숫자의 절댓값을 돌려주는 함수

abs(3)
# result : 3

abs(-3)
# result : 3

abs(-1.2)
# result : 1.2

 

* min( ) 함수 : min(iterable)은 max 함수와 반대로, 인수로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그 최솟값을 돌려주는 함수

min([1, 2, 3])
# result : 1

min("python")
# result : 'h'

 

* max( ) 함수 : max(iterable)는 인수로 반복 가능한 자료형을 입력받아 그 최댓값을 돌려주는 함수

max([1, 2, 3])
# result : 1

max("python")
# result : 'y'

 

* 참고 링크 : https://wikidocs.net/32

 

 C++ 코드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clude <stdlib.h>

long long solution(int a, int b) {
    long long answer = 0;
    
    long long sum = 0;
    if ( a > b ){
        for ( int i = b; i < a+1; i++)
            answer += i;
    } 
    else if ( a < b ) {
        for ( int i = a; i < b+1; i++)
            answer += i;
    }
    else {
        answer = a;
    }
    
    return answer;
}

* 참고 링크 : https://jjeongil.tistory.com/6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