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61)
2021-12-30 18:38:40
반응형

Maven Project 생성하기

 

1. Eclipse 실행 후 Project Explorer에서 마우스 우클릭 → New → Other... 선택

 

2. [Select a wizard] Wizards 검색창에 maven 입력 → Maven Project 선택 후 Next >

 

3. [New Maven project] 

□ Create a simple project(skip archetype selection) 체크 

□ Use default Workspace location 체크 

※ Location 경로가 비어있어야 정상적으로 동작

4. [Configure project] Group Id & Artifact Id 입력 후 finish 버튼 마우스로 클릭

- Group Id : 프로젝트 구조

* Group Id는 주소를 반대로 입력

ex) naver.com -> com.naver

- Artifact Id : Maven 프로젝트 명

5. Maven Project 생성 확인

 

반응형
2021-12-29 23:33:55
반응형
# Download the helper library from https://www.twilio.com/docs/python/install
import os
from twilio.rest import Client


# Find your Account SID and Auth Token at twilio.com/console
# and set the environment variables. See http://twil.io/secure
account_sid = os.environ['TWILIO_ACCOUNT_SID']
auth_token = os.environ['TWILIO_AUTH_TOKEN']
client = Client(account_sid, auth_token)

message = client.messages \
                .create(
                     body="Join Earth's mightiest heroes. Like Kevin Bacon.",
                     from_='+12542796380',
                     to='+821012341234'
                 )

print(message.sid)

https://www.youtube.com/watch?v=M6kQTpIqpLs 

https://www.twilio.com/docs/sms/quickstart/python

반응형

'Python > 코딩 1시간만에 배우기_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패키지 & 모듈  (0) 2021.12.29
10. 상속  (0) 2021.12.29
9. 클래스  (0) 2021.12.29
8. 복습 - 과일 숫자 세는 프로그램 만들기  (0) 2021.12.29
5. 자료구조 - list(리스트)  (0) 2021.12.29
2021-12-29 23:17:59
반응형
# 패키지 & 모듈

# 패키지 == 라이브러리
# 패키지 = 모듈 1 + 모듈 2 = 패키지는 모듈들의 합

# 모듈 == 코드가 들어있는 파일
# 이 코드가 모여서 어떠한 기능을 구현함

# animal package
# dog, cat modules
# dog, cat modules can sat "hi"

from animal import dog  # animal 패키지에서 dog 라는 모듈을 갖고와줘 
from animal import cat  # animal 패키지에서 cat 라는 모듈을 갖고와줘 

from animal import *    # animal 패키지가 갖고있는 모든 모듈을 다 불러와

# d = dog.Dog() # instance
# d.hi()

# c = cat.Cat()
# c.hi()

d = Dog() # instance
c = Cat()

d.hi()
c.hi()

print("=======================================")
print("=======================================")


from geopy.geocoders import Nominatim
geolocator = Nominatim(user_agent = "woonie")
# location = geolocator.geocode("175 5th Avenue NYC")
location = geolocator.geocode("Seoul, South Korea")
print(location)
print(location.address)
print(location.raw)
# animal\__init__.py

from .cat import Cat # . <= "이 폴더에 있는" cat.py 이라는 파일에서 Cat 이라는 클래스를 갖고와줘
from .dog import Dog # . <= "이 폴더에 있는" dog.py 이라는 파일에서 Dog 이라는 클래스를 갖고와줘
# animal\cat.py

class Cat:
  def hi(self):
    print("meow!!") # 고양이가 안녕하는 소리
# animal\dog.py

class Dog:
  def hi(self):
    print("bark!!") # 개가 안녕하는 소리

반응형

'Python > 코딩 1시간만에 배우기_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핸드폰으로 문자보내기  (0) 2021.12.29
10. 상속  (0) 2021.12.29
9. 클래스  (0) 2021.12.29
8. 복습 - 과일 숫자 세는 프로그램 만들기  (0) 2021.12.29
5. 자료구조 - list(리스트)  (0) 2021.12.29
2021-12-29 22:57:55
반응형
# 상속 (inheritance))

class Person:               # initialize(초기화)를 줄여서 init이라고 함
  def __init__(self, name, age): # __init__() 함수는 self를 첫 인자로 받고, 
                            # Person()에서 새로 쓸 변수를 설정할 수 있음
    self.name = name
    self.age = age

  def say_hello(self, to_name): 
    print("안녕! " + to_name + " 나는 " + self.name)  # say_hello() 함수의 self라는 인자가 하는 역할

  def introduce(self):
    print("내 이름은 " + self.name + " 그리고 나는 " + str(self.age) + " 살이야") 
    # age 는 숫자 타입을 가진 변수로 문자열 타입으로 캐스팅을 해줘야 함

class Police(Person):  # Police라는 클래스가 Person이라는 클래스를 상속한다.
  def arrest(self, to_arrest):
    print("넌 체포됐다, " + to_arrest)

class Programmer(Person):
  def program(self, to_program):
    print("다음엔 뭘 만들지? 아 이걸 만들어야겠다: " + to_program)

wonie = Person("워니", 20)
jenny = Police("제니", 21)
michael = Programmer("마이클", 22)

jenny.introduce()
jenny.arrest("워니")
michael.introduce()
michael.program("이메일 클라이언트")

반응형
2021-12-29 22:43:36
반응형
# 클래스 - 함수랑 변수들의 합
# 오브젝트(인스턴스) - 클래스를 이용해서 만든 물체

# ex) 클래스 == 빵틀 / 오브젝트 == 빵

class Person:
  name = "워니"

  def say_hello(self): 
    print("안녕! 나는" + self.name)  # say_hello() 함수의 self라는 인자가 하는 역할

p = Person()  # p라는 오브젝트 생성
p.say_hello() # p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print("================")
print("================")


# name이라는 변수를 "워니"로 고정시키지 않고 오브젝트를 만들때 새로 이름 할당

class Person:               # initialize(초기화)를 줄여서 init이라고 함
  def __init__(self, name): # __init__() 함수는 self를 첫 인자로 받고, 
                            # Person()에서 새로 쓸 변수를 설정할 수 있음
    self.name = name

  def say_hello(self): 
    print("안녕! 나는" + self.name)  # say_hello() 함수의 self라는 인자가 하는 역할

wonie = Person("워니")      # wonie라는 오브젝트 생성
michael = Person("마이클")  # michael라는 오브젝트 생성
jenny = Person("제니")      # jenny라는 오브젝트 생성

wonie.say_hello()   # wonie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michael.say_hello() # michael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jenny.say_hello()   # jenny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print("================")
print("================")

class Person:               # initialize(초기화)를 줄여서 init이라고 함
  def __init__(self, name): # __init__() 함수는 self를 첫 인자로 받고, 
                            # Person()에서 새로 쓸 변수를 설정할 수 있음
    self.name = name

  def say_hello(self, to_name): 
    print("안녕! " + to_name + " 나는 " + self.name)  # say_hello() 함수의 self라는 인자가 하는 역할

wonie2 = Person("워니")      # wonie라는 오브젝트 생성
michael2 = Person("마이클")  # michael라는 오브젝트 생성
jenny2 = Person("제니")      # jenny라는 오브젝트 생성

wonie2.say_hello("철수")   # wonie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michael2.say_hello("영희") # michael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jenny2.say_hello("미지")   # jenny라는 인자에서 say_hello()라는 함수를 가져옴

print("================")
print("================")

class Person:               # initialize(초기화)를 줄여서 init이라고 함
  def __init__(self, name, age): # __init__() 함수는 self를 첫 인자로 받고, 
                            # Person()에서 새로 쓸 변수를 설정할 수 있음
    self.name = name
    self.age = age

  def say_hello(self, to_name): 
    print("안녕! " + to_name + " 나는 " + self.name)  # say_hello() 함수의 self라는 인자가 하는 역할

  def introduce(self):
    print("내 이름은 " + self.name + " 그리고 나는 " + str(self.age) + " 살이야") 
    # age 는 숫자 타입을 가진 변수로 문자열 타입으로 캐스팅을 해줘야 함

wonie3 = Person("워니", 20)      # wonie라는 오브젝트 생성
wonie3.introduce()


print("================")
print("================")

반응형
2021-12-29 21:24:12
반응형

[javadoc 설정하기]

1. Eclipse IDC 실행 → Window → Preferences 

2. Preferences → General → Content Types → Text → Java Source File → Default encoding : UTF-8 입력 후 Update 버튼 클릭 → Apply and Close

3. 좌측 Project Explorer → 프로젝트 마우스 우클릭 → Export... 

4.  Export... → javadoc 입력 후 선택 → Next >

5.  Generate javadoc → Use standard doclet 경로 확인 후 Next >

6. 확인만 한 후 Default 설정으로 Next >

 

7. VM options에 아래 값 입력 후 Next >

입력내용 : 

-locale ko_KR -encoding UTF-8 -charset UTF-8 -docencoding UTF-8

 

* 좌측 Project Explorer에서 해당 프로젝트에 javadoc 폴더 생성 여부 확인 

============================================================================

※ [에러 발생 할 경우 해결방법]

javadoc: error -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해당 에러는 사용자 pc에 이클립스가 설치된 경로 충돌로 CLASSPATH 재설정을 해줘야 함 

 

1. 내 PC → 마우스 우클릭하여 속성 마우스로 선택

2. 시스템 실행되면 좌측 확인 → 고급 시스템 설정 마우스로 클릭

 

3. 시스템 속성 → 고급 탭 → 환경 변수 선택

4. 환경 변수 → 시스템 변수(S) → CLASSPATH 선택 후 편집 마우스로 클릭

5. 아래 경로 추가 후 확인 버튼 마우스로 클릭

C:\Program Files\Eclipse Adoptium\jdk-8.0.312.7-hotspot\lib

C:\Program Files\Eclipse Adoptium\jdk-8.0.312.7-hotspot\lib\tools.jar

※ 경로에 대한 버전이 사용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Eclipse 설치 경로 직접 들어가서 확인이 필요

6. Eclipse 재실행 후 javadoc 생성 여부 재확인

- 에러는 뭔가 뜨지만 javadoc 폴더에 파일들이 정상적으로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참고 

https://hbesthee.tistory.com/1380

https://blog.csdn.net/u014635374/article/details/106003970#comments_15290528

https://blog.naver.com/inho1213/80069534301

https://www.extutorial.com/en/blog/1486584

https://bugs.java.com/bugdatabase/view_bug.do?bug_id=6219854 

 

반응형

'Java > 자바 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oup 설정 및 웹 크롤링  (0) 2021.12.30
Maven Project 생성하기  (0) 2021.12.30
이클립스 우클릭 New 목록 설정하기  (0) 20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