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06)
2021-12-29 00:19:37
반응형
# 자료구조 (리스트)

# List(리스트) -- 엘레멘트 element  여러개를 그룹핑할 때 쓰임

x = list()
y = []

print(x)
print(y)

print("================")
print("================")

x = [1, 2,  3, 4]
y = ["hello", "world"]
z = ["hello", 1, 2, 3]

print(x)
print(y)
print(z)

print(x+y)

print("================")
print("================")

x = [1, 2, 3, 4]
#    0  1  2  3 

print(x[0]) # x의 0번째 자리에 있는 element를 출력해라
print(x[3])
# print(x[4]) # 리스트 크기를 넘어가서 에러가 뜸

x[3] = 10
print(x)

num_elements = len(x)
print(num_elements) # 리스트 안에 몇개 있는지 확인

print("================")
print("================")

a = [4, 2, 3, 1]
b = sorted(a)  # sorted로 리스트 정렬
print(b)

z = ["hello", "there"]

for n in x:
  print(n)

print("================")
print("================")

for c in z:
  print(c)

print("================")
print("================")

print(x.index(3)) # element 위치 찾기 // x라는 list에 3이라는 element가 어디 있냐
                  # 0 1 2 2번째 자리로 출력

print(z.index("hello"))              
print("hello" in y) # hello라는게 y라는 list 안에 있는지 물어봄 Trie / False

if "hello" in y:
  print("y라는 list에 hello가 있어요")

if "hello" in x:
  print("x라는 list에 hello가 있어요")
else:
  print("x라는 list에 hello가 없어요")

반응형

'Python > 코딩 1시간만에 배우기_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클래스  (0) 2021.12.29
8. 복습 - 과일 숫자 세는 프로그램 만들기  (0) 2021.12.29
4. 반복문(for, while) / break, continue  (0) 2021.12.28
3. 함수 (Function)  (0) 2021.12.28
2. 조건문  (0) 2021.12.28
2021-12-28 23:13:05
반응형

2557. hello World

 

Python

print("Hello World!")

 

C++

방법 1) [iostream]

#include <iostream>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
    return 0;
}

방법 2) [stdio.h]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방법 3) [cstdio]

include <cstdio>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 참고: https://st-lab.tistory.com/200

반응형
2021-12-28 03:18:56
반응형
# 반복문 (for, while)
print("================")
print("반복문(for, while)")
print("================")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print("================")
print("================")
print("================")

# for

for i in range(10): # for i in -  i라는 변수에 몇 번째인지 넣어라 range(10) - 10번 반복해라
# range() 함수는 마지막 숫자 범위는 포함하지 않음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print("================")
print("for")
print("================")

for i in range(3):
  print(i) # 출력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프로그래밍에서 모든 숫자는 0부터 시작함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 while

print("================")
print("while")
print("================")

i = 0
while i < 3:
  print(i)     # (1) i = 0 (2) i = 1 (3) i = 2 (4) i = 3 -> 다음 코드가 안 돌아감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i = i + 1    # (1) i = 0 + 1 = 1 (2) i = 1 + 1 = 2 (3) i = 2 + 1 = 3

# for, while - break, continue
print("================")
print("while - break")
print("================")

i = 0 

while True:
  print(i)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i = i + 1

  if i > 2: # i가 2보다 크면 무한 루프를 끝내라
    break

print("================")
print("for - break")
print("================")

i = 0 

for i in range(100):
  print(i)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i = i + 1

  if i > 2: # i가 2보다 크면 무한 루프를 끝내라
    break

print("================")
print("for - continue")
print("================")

i = 0 

for i in range(3):
  print(i)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if i == 1: # i가 1일 때는 워니가 말을 안하게 하고 싶을 때 continue를 사용
    continue
  print("워니: 안녕 철수와 영희야!")


print("================")
print("while - continue")
print("================")

a = 0 

while a < 3:
  print(a)
  print("철수: 안녕 영희야 뭐해?")
  print("영희: 안녕 철수야, 그냥 있어.")

  a += 1

  if a == 2: # i가 2일 때는 워니가 말을 안하게 하고 싶을 때 continue를 사용
    continue
  print("워니: 안녕 철수와 영희야!")

반응형
2021-12-28 02:41:02
반응형
# 함수 (Function)

def chat(): # definition
  print("철수 : 안녕? 넌 몇 살이니?")
  print("영희 : 나? 나는 20")

print("================")
print("함수 (Function)")
print("================")

chat()
chat()
chat()
chat()

print("================")
print("================")
print("================")

def chat2(name1, name2, age):
  print("%s : 안녕? 넌 몇 살이니?" % name1) # %s 문자열(String)
  print("%s : 나? 나는 %d" % (name2, age)) # %d 정수(integer)

chat2("알렉스", "윤하", 10)
chat2("철수", "영희", 30)

print("================")
print("================")
print("================")

# a = 1
# b = 2
# c = a + b

# x = 1
# y = 2
# z = x + y

def dsum(a, b): # 인자를 a, b로 받음
  result = a + b
  return result # result라는 변수를 return 시킴 // 
  # function을 실행 시키면 result라는 변수를 반환 & 호출해줘라

d = dsum(1, 2)
print(d)

d = dsum(2, 4)
print(d)

print("================")
print("======복습======")
print("================")

# 복습
# 먼저 이름과 나이를 받아라
# 나이가 10살 미만이면 "안녕" 이라고 말해라
# 나이가 10살에서 20살 사이면 "안녕하세요" 라고 말해라
# 그 외에는 "안녕하십니까" 라고 말해라

def sayHello(name, age):
  if age < 10:
    print("안녕, " + name)
  elif age <= 20 and age >= 10:
    print("안녕하세요, " + name)
  else:
    print("안녕하십니까, " + name)

sayHello("워니", 9)
sayHello("워니", 40)
sayHello("알렉스", 10)
sayHello("윤하", 20)

반응형
2021-12-28 02:22:24
반응형
# 조건문 (If Else))

if 2 > 1 :     # 2가 1보다 크면 Hello 출력
  print("Hello")

if not 1 > 2 : # 1이 2보다 크지 않으면 Hello 출력
  print("Hello")


if not 1 > 0 and 2 > 1 : # 1이 0보다 크고 2가 1보다 크면 Hello 출력
  print("Hello")

if not 0 > 0 and 2 > 1 : # 0이 0보다 크거나 또는 2가 1보다 크면 Hello 출력
  print("Hello")

x = 3
if x > 2 :               # x가 2보다 크면 Hello 출력
  print("Hello") 


if x > 5 :               # x가 5보다 크면 Hello 출력
  print("Hello") 
else :                   # 그게 아니면  Hi 출력
  print("Hi") 


if x > 5 :               # x가 5보다 크면 Hello 출력
  print("Hello") 
elif x == 3 :            # x가 3이면 Bye 출력
  print("Bye") 
else :                   # 그게 아니면  Hi 출력
  print("Hi")

반응형
2021-12-28 02:19:39
반응형
# 변수
print("===============")
print("변수")
print("===============")
x = 1
y = 2

print(x)
print(y)

z = "안녕"
print(z)

# 타입(Type)
print("===============")
print("타입 (Type)")
print("===============")

# 숫자
print("===============")
print("숫자")
print("===============")

x = 1
y = 1
z = 1.2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print(x ** y)


# 문자열
print("===============")
print("문자열")
print("===============")

x = "hello"
y = 'bye'

print(x)
print(y)

z = """
안녕하세요
딥런입니다
"""
print(z)

print("안녕" + " " + "잘 지내니")
print("너 혹시 몇 살이니? " + str(4))

x = 4 # 숫자 타입
y = "4" # 문자열 타입

print(str(x) + y)
print(x + int(y))

# boolean : 불리안 (True / False))
# 어떤 조건이 참이면 무엇을 해라
# 어떤 조건이 거짓이면 무엇을 해라

print("===============")
print("boolean : 불리안")
print("===============")

x = True
y = False

print(x)
print(y)

반응형